'美 중동평화안' 겨냥 아랍권 비판 확산…"'팔' 일방적 양보안"

입력 2019-06-24 11:47
'美 중동평화안' 겨냥 아랍권 비판 확산…"'팔' 일방적 양보안"

모로코 평화안 반대 수천명 가두시위…사우디 등 일부 찬성 목소리도

네타냐후 "열린 방식으로 검토"…점령지 사수 의지 재확인



(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한 미국의 중동평화안 경제 계획에 대해 아랍 국가들 사이에 비판론이 확산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레바논 의회의 나비 베리 의장은 "레바논이 수십억 달러의 돈에 원칙을 버리고 굴복하리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라고 비난했다.

친이란 성향의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도 미국의 제안을 "역사적인 범죄"라고 언급하며 즉각적인 폐기를 촉구했다.

쿠웨이트 의회의 오사마 알 샤힌 의원 역시 이번 안에 대해 "아랍 진영이 일방적으로 양보하고 점령자(이스라엘)는 땅·평화·돈 등 모든 것을 차지하는 안"이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이날 모로코의 수도 라바트에선 시민 수천명이 팔레스타인과의 연대와 중동평화안 반대 등을 내세운 가두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시위에 참여한 집권 정의개발당(PJD)의 슬리마네 암라니 사무차장은 "모로코인으로서 한목소리를 내기 위해 왔다"며 "팔레스타인의 대의명분을 꺾으려는 어떤 모의도 반대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랍 일각에서는 미국의 중동평화안 경제 계획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영토 점령을 인정하는 대가로 요르단·시리아·레바논 등 팔레스타인 주변국들에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려는 시도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들 세 나라는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약 500만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을 수용한 것으로 추산된다.

제한적이긴 하나 친미 성향의 아랍권 일부에서는 팔레스타인이 중동평화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미국의 대표적인 아랍 동맹국 가운데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 정책을 지지하는 '아라비아 재단'의 알리 시하비 소장은 팔레스타인 당국이 미국의 제안을 즉각적으로 거부한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팔레스타인은 일단 그 제안을 받아들인 뒤 그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는 방향으로 일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정치적인 권리를 찾기 위한 공세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백악관은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팔레스타인과 해당 지역의 보다 나은 미래 구축을 돕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인 '번영을 향한 평화'(Peace to Prosperity)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백악관의 재러드 쿠슈너 선임보좌관과 제이슨 그린블랫 중동특사가 주도한 중동평화안 가운데 경제 파트에 관한 것이다.

향후 10년간 팔레스타인 지역에 500억 달러(약 58조1천75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는 것은 물론 국내총생산(GDP) 배가,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한 자리 숫자로의 실업률 감소, 빈곤율 50% 감소 등의 청사진이 담겼다.

이 안은 오는 25∼26일 바레인 마나마에서 열리는 '경제 워크숍'에서 공식 논의될 예정이다. 하지만 아랍권의 반발로 현재로선 회의 자체가 반쪽짜리에 그칠 공산이 크다.

중동 평화를 위해 경제보다는 정치적인 해결이 우선이라고 강조해온 팔레스타인 당국은 일찌감치 회의 보이콧을 선언한 상태다.

팔레스타인 당국은 이번 경제 계획이 이스라엘의 영토 점령을 받아들이도록 팔레스타인을 매수하려는 시도라고 비난해왔다. 레바논과 이라크도 회의에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UAE)를 비롯해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등은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한편,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스라엘을 방문 중인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함께 이날 점령지인 요르단강 계곡 돌아보던 와중에 중동평화안 경제 계획을 언급하며 "미국의 제안을 공정하고 열린 방식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그러면서도 요르단강 계곡을 비롯한 점령지를 결코 포기할 수 없다는 의지도 재확인했다.

그는 "평화를 얻기 위해 이스라엘이 요르단강 계곡을 떠나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은 전쟁과 테러만 가져다줄 뿐 평화를 가져오지는 않을 것"며 "이스라엘 안보는 물론 이 지역 모든 국가의 안보를 위해 이스라엘이 계속 주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은 1967년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에서 승리한 뒤 요르단강 서안과 골란고원 등을 점령해 이스라엘 정착촌을 건설,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아랍권의 반발을 사왔다.

lu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