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30년만에 최고…실업률은 외환위기 후 최장 4%대(종합2보)

입력 2019-06-12 11:15
고용률 30년만에 최고…실업률은 외환위기 후 최장 4%대(종합2보)

5월 취업자 25만9천명↑…실업자는 114만5천명, 2000년 이후 5월기준 최대

도소매업 취업자 증가 전환…40대 연령층·제조업에선 감소세 길어져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이대희 김경윤 기자 = 10만명대로 떨어지며 잠시 주춤하던 취업자 증가 폭이 다시 20만명대를 회복했다.

15~64세 고용률은 5월 기준으로 30년 만에 최고였다. 정부의 재정 일자리 사업으로 60대 이상의 고용이 늘고, 음식점업에 청년층 유입이 늘었으며, 30대의 고용률 하락이 멈춰선 영향으로 풀이됐다.

하지만, 실업률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4%대 행진이 나타나는 등 혼재된 고용 성적표가 나왔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32만2천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5만9천명 늘었다.





작년 1월까지 20만∼30만명대였던 취업자 증가 규모는 작년 2월 10만4천명으로 급감한 데 이어 올해 1월(1만9천명)까지 12개월 연속 부진했다.

그러나 올해 2월(26만3천명)과 3월(25만명)에 회복세를 보였고, 4월 다시 10만명대(17만1천명)에 그치며 주춤했지만, 지난달 20만명대를 회복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2만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6만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4만7천명) 등에서 증가했다.

하지만 제조업(-7만3천명), 금융 및 보험업(-4만6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만명) 등에서는 감소했다.

도매 및 소매업은 1천명 증가했다. 2017년 12월(-7천명) 이후 17개월간 지속한 감소세가 멈췄다. 통계청은 도매업 업황이 개선되며 40대와 60대를 중심으로 개선세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지난 2월 늘어나기 시작하고선 매달 증가폭이 커졌다. 여기에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증가는 주로 50∼60대에서 늘었는데 도서관·사적지·박물관 등 공공부문 재정 일자리가 늘어난 점과, 민간부문에서 복권판매업·오락장·게임장 등에 청년층이 취업하고 50대 창업이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제조업은 작년 4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다. 다만 올해 1월(-17만명) 이후로 감소 폭이 줄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는 반도체·유무선 통신장비 관련 전자부품 제조, 전기장비 제조 부문에서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 취업자를 보면 60세 이상(35만4천명), 50대(10만9천명), 20대(3만4천명)에서 증가했지만, 40대(-17만7천명)와 30대(-7만3천명)는 감소했다.

40대 취업자 감소세는 2015년 11월부터 43개월째다. 다만 통계청은 30∼40대가 인구 감소 계층이기 때문에 고용률과 함께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년 전과 비교해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를 보면 상용근로자(33만명)와 일용근로자(1만7천명)는 늘었지만 임시근로자(-3만명)는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8천명 증가했지만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5만9천명,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8천명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를 보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38만2천명 감소했으나 그 미만은 66만6천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5%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올랐다. 2017년 5월(61.5%)을 제외하면 1997년 5월(61.8%) 이후 최고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1989년 1월 통계작성 시작 이후 5월 기준으로 최고 수준이었다.

이는 재정일자리 사업 대상인 60대와 음식점업에 주로 유입된 청년층의 고용률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5월은 취업 시즌은 아니어서 주로 음식점업, 그 중에서도 상용직보다 임시직에 청년층 유입이 많았다"며 "(재정일자리 사업의 대상인) 60대와 청년층 고용률 상승이 15∼64세 고용률을 끌어올렸으며, 고용률이 하락하던 30대가 5월에 보합세를 보인 점도 취업자 증가에 기여했다"고 말했다.

실제 연령별 고용률을 보면 60세 이상에서는 작년 5월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20대는 0.1%포인트, 50대는 0.2%포인트 상승했고 30대는 보합이었다.

40대는 0.7%포인트 하락했는데, 제조업 취업자 부진과 관련이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9%포인트 상승한 43.6%였다. 작년 6월부터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114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2만4천명 증가했다. 이는 같은 조사기준(구직기간 4주)으로 5월치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래 가장 많다.

정 과장은 "실업자는 경기가 나빠질 때도 증가하지만 경기가 풀려 구직활동이 늘어날 때도 증가하기 때문에 실업자 증가가 항상 부정적인 신호는 아닐 수 있다"며 "이달 지표를 보면 고용률이 상승세이고 실업자 증가 폭도 둔화했기에 구직자의 진입도 하나의 요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구 증감을 고려해 고용률 상승세를 보면 고용 사정은 개선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업률은 4.0%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실업률은 올해 들어 5개월 연속으로 4%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1999년 6월∼2000년 5월 12개월 연속 4% 이상을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청년층 실업률은 9.9%로 1년 전 같은 달보다는 0.6%포인트 하락했다.

체감실업률을 나타내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2.1%로 1년 전보다 0.6%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고용보조지표3은 24.2%로 1.0%포인트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599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6천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은 20만3천명 증가한 196만3천명이다. 구직단념자는 53만8천명으로 7만2천명 늘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이날 보도참고자료에서 5월 고용동향에 대해 "상용직 증가, 청년고용 개선 등 고용의 질 개선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최근 고용 회복 흐름이 추세적으로 공고화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총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고용 상황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함께 민간일자리 창출 뒷받침과 경제활력 제고 노력을 강화하고, 특히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안이 조속한 시일 내 통과돼 경기·고용 여건 개선에 기여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