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와 '동지'로 함께 한 47년…마지막까지 재야 '정신적 지주'
김대중 前대통령 헌신적 뒷바라지…스스로가 주체적 민주화 운동가
'동교동 교도소'서 마음고생…양심수 석방운동 앞장
靑 입성 후 소외계층 위해 노력…말년에도 '동교동계' 구심점 역할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77년 부인 이희호 여사에게 보낸 옥중 편지에서 "우리는 사적으로는 가족 관계지만 정신적으로는 같은 세계를 살아가는 동행자 간"이라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또 1983년 미국 망명 시절 강연에서 "아내가 없었더라면 내가 오늘날 무엇이 됐을지 상상도 할 수 없다"고 회고했다.
이 여사 곁에서 그의 인생역정을 지켜봐 온 사람들은 '김대중의 삶이 곧 이희호의 삶이었다'고 입을 모아 말한다. 이 여사는 스스로 주체적인 여성 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였으며, 김 전 대통령의 둘도 없는 '동지'이기도 했다.
1922년생으로 김 전 대통령보다 두 살 많은 이 여사는 1950년대 초 서울대 사범대를 졸업하고 미국 스캐릿 대학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받은 당대 엘리트 여성이었다.
이 여사는 마흔 살이었던 1962년 대한 YWCA 총무로 왕성하게 활동하던 도중 김 전 대통령과 혼인했다. 결혼한 지 불과 열흘 후 김 전 대통령이 반혁명을 죄목으로 중앙정보부에 연행됐으니 이 여사에게는 '고난'의 시작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김 전 대통령이 이듬해 서울 마포구 동교동으로 이사하면서 대문에 '김대중', '이희호'라고 적힌 명패 두 개를 나란히 내건 것은 잘 알려진 얘기다. 김 전 대통령은 감사와 존경의 뜻으로 당시로선 파격적인 '커플 명패'를 달았다고 밝힌 바 있다.
두 사람은 늘 높임말을 쓰는 등 서로를 존중했다.
1963년 6대 총선에서 '최대 격전지'인 목포에 출마해 극적으로 당선한 것을 시작으로 박정희·전두환 독재정권과의 투쟁 선봉에 선 정치인 김 전 대통령 뒤엔 언제나 이 여사의 헌신적인 뒷바라지가 있었다.
선거 때마다 이 여사는 '남편이 1진이라면 나는 2진'이라면서 김 전 대통령이 일일이 챙기지 못하는 골목을 누비고 발품을 팔아 '부창부수'라는 칭송을 들었다.
정책 제안의 바탕이 되는 꼼꼼한 신문 스크랩도 이 여사의 몫이었다.
김 전 대통령이 1970년대 초 유신 반대 투쟁에 앞장섰을 때 '더 강력한 투쟁을 하시라'고 남편을 독려하는 등 강골의 운동가 기질을 발휘하기도 했다.
이 여사는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김 전 대통령과 함께 남산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고초를 당하기도 했다. 사흘 만에 풀려난 이 여사는 다른 3·1 사건 구속자 가족들과 양심수 가족협의회를 결성해 석방 운동에 앞장섰다.
김 전 대통령의 첫 재판 때 검정 테이프를 입에 붙이고 침묵시위를 하던 사진은 고된 옥바라지 속에서도 의연한 모습을 보이던 이 여사를 기억하는 역사의 기록으로 남았다.
1978년 연말 석방된 김 전 대통령은 수차례 반복된 가택 연금으로 '동교동 교도소'라고 불리던 자택에 발이 묶였다가 1980년 5월 17일 또다시 연행됐다. 신군부의 5·18 광주 학살과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의 서막이었다.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이 1심에서 사형 선고를 받던 무렵 머리카락이 한 움큼씩 빠질 정도로 마음고생을 했고, 지독한 관절염까지 얻었다.
그런 와중에도 옥중의 김 전 대통령에게 600권이 넘는 책을 보내 공부를 돕는가 하면 청와대 안가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과 독대해 남편의 석방을 당당히 요구했다.
1982년 말 미국으로 망명한 김 전 대통령과 이 여사는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대학과 교회 등에서 전두환 독재의 실상을 알리는 민주화 투쟁을 벌였다.
2년여 만에 귀국한 김 전 대통령 부부는 장기 연금과 도청, 감청에 시달리다가 1987년 당시 노태우 민정당 후보의 6·29 선언이 있고 난 뒤에야 마침내 활동의 자유를 얻게 됐다.
이어진 1987년과 1992년의 쓰라린 대선 패배, 김 전 대통령의 정계 은퇴 선언과 복귀, 1997년 대선 승리 등 고비마다 이 여사의 지극한 내조가 있었다.
이 여사는 청와대에 머무는 동안 여성과 어린이,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와 소외 계층의 권익 신장을 위해 노력했다.
사단법인 사랑의 친구들 명예총재를 맡아 결식아동과 북한 어린이를 도왔으며, 한국여성재단을 출범하는 데도 역할을 했다. 여성부 창설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김 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은 2000년 이 여사도 펄 벅 인터내셔널이 주는 '올해의 여성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 전 대통령 퇴임 후 부부는 동교동 사저로 돌아왔으며, 이 여사는 2009년 8월 김 전 대통령 서거로 47년 동안 함께 했던 '동역자(同役者)'와 작별했다.
이 여사는 김 전 대통령 서거 직후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으로 선임돼 동교동계의 구심점이자 재야인사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톡톡히 했다.
2011년 말 김정일 전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을 때 조문단 자격으로 1박 2일간 방북, 금수산기념궁전에서 상주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