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대반전' 주목…文대통령, 트럼프 앞서 김정은과 만날까

입력 2019-06-02 14:56
6월의 '대반전' 주목…文대통령, 트럼프 앞서 김정은과 만날까

이달 말 G20 계기 릴레이 정상외교 관측…한반도 비핵화 논의 중대국면

북미협상 돌파구 고심 文대통령, '원포인트 남북회담 추진' 승부수 던질까

'오슬로 선언' 나올지 주목…北 강경 태도 속 "단기간 해결 어려워" 관측도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정착의 중대 분수령이 될 6월을 맞았다.

이달 말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을 비롯해 한반도 주변국 정상들의 연쇄 회담이 예상되는 만큼, 문 대통령이 이 과정에서 북미 협상 교착을 타개할 돌파구를 찾을지 주목된다.

일부에서는 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원포인트 정상회담' 등 과감한 승부수를 꺼내 들 수 있다는 예상도 흘러나오지만, 북한이 하노이 핵 담판 결렬 뒤 강경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어 대화 진전이 쉽지 않다는 분석도 동시에 제기된다.





◇ 릴레이 정상외교 앞둔 文대통령…대화 동력 살릴 승부수는

앞서 청와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달 하순 일본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 문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 한국 정부는 이번 G20 정상회의 무대를 활용해 한중 정상회담이나 한일 정상회담, 한러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각국 정부와 물밑 조율을 벌일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나아가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의 회동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시진핑 주석은 이달 5일 러시아를 국빈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중러 정상회담을 하는 등 미·중·일·러 정상들의 회동이 숨 가쁘게 돌아가는 모양새다.

이런 릴레이 정상외교는 비핵화 협상 진전을 위한 올해 상반기 마지막 기회로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정상들과 만남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하고, 이를 통해 북미 협상을 진전시킬 모멘텀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이전에 과감한 대북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북한과의 소통을 통해 북측의 정확한 의중을 파악하고 비핵화 방법론에 대한 북미 간 거리를 좁혀 놓는다면, 이후 한미정상회담 등에서 성과를 내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9∼16일 예정된 핀란드·노르웨이·스웨덴 등 북유럽 3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뒤, 김 위원장과 '원포인트 4차 남북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당국자는 지난달 21일 기자들을 만나 "(남북 정상회담의) 목적을 북미정상회담 재개를 위한 조율로 본다면, 형식적 측면보다는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라며 "굳이 (대북)특사나 (남북)고위급회담을 먼저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는 남북의 의견이 일치하기만 한다면 남북 정상의 '원포인트 정상회담'도 가능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이 이번 북유럽 순방에서 내놓을 평화 메시지에도 한층 관심이 쏠린다.

고 대변인은 지난달 29일 브리핑에서 '평화'를 문 대통령의 순방 키워드 가운데 하나로 소개했다.

방문국 가운데 노벨평화상을 시상하는 노르웨이가 포함됐다는 점에서,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지난 2017년 '베를린 구상'의 뒤를 잇는 '오슬로 선언'을 내놓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 1주년에 즈음해, 문 대통령이 국제 무대에서 새로운 평화 구상을 천명하면서 북미 핵 협상 교착상태의 돌파구를 모색하리라는 관측이다.



◇ 北 대미·대남 강경 메시지…"단기간 해결 쉽지 않아" 관측도

그러나 하노이 핵 담판 결렬 후 북한이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비핵화 협상의 급격한 진전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북한은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발사체를 발사했고, 이후에도 대외 선전 매체 등을 통해 한국과 미국을 겨냥한 비난을 이어가고 있다.

앞서 일부 언론은 북한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의 책임을 물어 김혁철 대미 특별대표와 외무성 실무자들을 처형했다는 보도를 하기도 했다.

다만 이 보도에 대해서는 청와대 관계자는 "해당 기사가 얼마만큼 확인된 사항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섣부른 판단이나 언급은 적절치 않다"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정치권에서는 북한의 강경한 태도를 고려하면 현재로서는 남북 정상회담은 물론, 대북특사 등 정상회담보다 낮은 단계에서의 남북 간 소통 역시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미 간 대립이 첨예한 상황이다. 단기간에 해결책을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은 일단 북한이 더 이상의 도발을 하지 않고,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를 전제로 협상의 돌파구를 열 계기를 차분히 찾아가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