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의 혁신 키움의 관록 누가 웃을까…안정성 심사 '복병'

입력 2019-05-22 06:31
토스의 혁신 키움의 관록 누가 웃을까…안정성 심사 '복병'

키움, 상대적 우위…토스, 자본력·대주주적격성 진통 예고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성서호 기자 = 제3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가 임박한 가운데 인가를 신청한 토스뱅크, 키움뱅크 컨소시엄 중 누가 웃게 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금융당국은 두 곳 모두에 인가를 줄 수도, 두 곳 모두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금으로서는 키움뱅크가 상대적으로 앞선 들어간 모습이다.

토스뱅크는 심사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케이뱅크의 증자 이슈가 불거지면서 유사시 자본 조달력이 중대 변수로 부상한 데다 전자금융업자인 토스를 '금융자본(금융주력자)'으로 공식 인정해야 하는 금융당국의 부담도 만만치 않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24일부터 2박 3일간 외부평가위원회 합숙 심사를 진행하고 금융위원회는 26일 임시회의를 열어 예비인가를 내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시나리오는 크게 3가지다. 금융위가 최대 2개까지 예비인가를 할 계획인 만큼 키움뱅크와 토스뱅크 컨소시엄 모두 예비인가를 받을 수 있다. 아니면 두 곳 중 한 곳만 인가를 받거나 모두 탈락할 수도 있다.

금융권에선 첫번째와 두 번째 시나리오를 주목하고 있다. 가능성 측면에서 보자면 키움뱅크의 예비인가 가능성을 좀 더 크게 보는 분위기다.

키움증권[039490]이 주도하는 키움뱅크 컨소시엄은 28개 주주 가운데 하나금융지주[086790], SK텔레콤[017670], 11번가 등 굵직한 기업들이 포함돼 있어 토스뱅크보다는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키움뱅크로서는 정보기술(IT) 회사가 은행을 만들어 금융혁신을 주도한다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취지와 다소 거리가 멀다는 점이 걸린다. 기존의 키움증권에 은행을 더해주는 것밖에 안 된다는 문제 제기를 극복해야 한다.

반면 토스뱅크 컨소시엄은 혁신성 측면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에 걸맞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위기 상황에서 자금 조달 즉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가 신청을 눈앞에 두고 거대 투자자인 신한금융이 이탈한 데다 최근 케이뱅크가 자본확충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인터넷전문은행의 자금 조달력은 중대 변수가 됐다.

케이뱅크는 금융당국의 한도초과보유주주 승인이 중단된 이후 증자 문제로 대출 중단이 반복되고 있다. 토스뱅크가 비슷한 난관을 만날 경우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있는 것이다.

당국에서 둘 모두에 예비인가를 내주더라도 토스뱅크 컨소시엄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조건이 전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의 감사보고서를 보면 이 회사는 지난해 444억7천만원이 넘는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다. 한 해 전(390억7천원)보다 13.8%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비바리퍼블리카의 결손금은 646억3천만원에서 1천91억1천만원으로 불어났다.

토스뱅크의 주력인 비바리퍼블리카의 대주주 적격성 문제도 변수다.

토스뱅크는 인터넷은행 인가 신청서를 내면서 비바리퍼블리카가 60.8%의 지분을 갖는 가운데 해외 투자사들이 나머지 지분 대부분을 나눠 갖는 구성을 제시했다.

이는 비바리퍼블리카가 금융자본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올해부터 시행된 인터넷은행법도 ICT에 주력을 둔 산업자본(비금융주력자)에 대해 지분 34%까지만 허용하고 있다.

즉 전자금융업자인 비바리퍼블리카를 금융자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토스뱅크 내 비바리퍼블리카의 지분율을 34% 아래로 낮춰야 한다.

금융산업에서 은행이 갖는 역할을 감안할 때 은행의 대주주가 될 수 있는 금융자본의 범주에 전자금융업자를 넣는 데에는 금융당국 내부에서 상당한 반론이 있다.

금융당국은 외부평가위원의 평가 결과를 토대로 예비인가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