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중심 산불대책 한계…해안 도시 맞춤형 대책 시급

입력 2019-05-10 15:12
산림 중심 산불대책 한계…해안 도시 맞춤형 대책 시급

강원연구원, '동해안 산불의 교훈과 미래형 대책' 포럼

주민 참여 강화·장비 활용률 제고·방재공원 조성 등 방안 제시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지난달 강원 동해안 일원에서 발생한 산불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산불 관련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강원연구원은 10일 강릉원주대에서 '강원 동해안 산불의 교훈과 미래형 대책'을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불의 경우 산림 면적으로만 따지면 역대 4번째 규모지만, 산림피해가 주를 이뤘던 기존 산불과 달리 막대한 재산피해를 남겨 사실상 가장 큰 피해로 평가했다.

산림 중심인 산불대책도 무력화시켜 자연여건은 물론 해안 도시에 맞는 도시형 산불대책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채희문 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는 산불 방재를 위해 지역주민이 중심이 돼서 산불을 감시하고, 산불 관리를 위한 교육을 받고, 산불 방지 캠페인을 구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채 교수는 "지역주민들을 중심에 놓고 정부, 지자체, 유관기관이 산불 위험지역 관리 지원, 산불 감시 체계 구축, 교육지원 등 행·재정적 지원을 함으로써 이해 당사자 간 산불 저감을 위한 상시적 협력체계(자생적 주민 협의체)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과 캐나다에서 시행 중인 'Fire-Smart' 시스템을 예로 들어 산림과 민가 간 거리를 100m 정도 두고 10m 미만, 10∼30m 미만, 30∼100m 미만 등 구간을 나눠 관리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채 교수는 "산림 인접 지역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한국형 Fire-Smart 전략 기술을 개발하고, 시범 운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정석 산불방지정책연구소장은 현장 깊숙한 곳에서 벌어지는 기관별 알력다툼, 인적자원 운용의 구조적인 문제점, 관련 장비에 대한 이해와 활용지식 부족을 문제점으로 꼽으며 산불 최고위험 지역에 걸맞은 산불방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황 소장은 장비 동원율과 비교해 활용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산불경진대회용으로만 치부된 중형펌프를 활용하면 1시간당 등짐펌프 120∼200개 분량의 물을 뿌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진화 장비 활용률을 높이고, 인적자원 배분만 적절히 한다면 10배 이상의 효율적인 진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밖에 김태경 강릉원주대 환경조경학과 교수는 방재공원의 필요성과 조성방안을, 김경남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산불의 교훈과 미래형 대책을 제시했다.

발제에 이은 토론에서는 심상화 강원도의회 산불특위 부위원장, 이승환 강원대 교수, 홍영근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장, 고낙삼 산림청 산불방지과장, 강원석 국립산림과학원 박사, 소기웅 동해안산불방지센터 소장, 양원모 고성군 부군수 등이 참여해 산불대책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conany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