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2주년 앞둔 靑, 참모진 총선 차출·비서진 개편 주목

입력 2019-05-05 13:23
집권 2주년 앞둔 靑, 참모진 총선 차출·비서진 개편 주목

총선 출마 예상자 두 자릿수…희망자들 사퇴후 지역 다지기 나설 듯

임명 늦은 일부 참모 등은 내년 1월까지 자리 지킬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문재인 정부가 오는 10일이면 집권 2주년을 맞는 가운데 총선에 대비한 일부 참모들의 교체 가능성이 거론되며 분위기 쇄신용 인사 가능성에 서서히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올해 초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둔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한병도 전 정무수석,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권혁기 전 춘추관장 등을 떠나보내면서 비교적 큰 폭의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지난달 민주당에 입당한 윤 전 수석이 성남 중원에 출마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가운데 임 전 실장은 '정치 1번지'인 종로,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지역구인 동작을 출마설 등이 분분하다.

문 대통령 임기의 절반이 끝나는 올해 11월이 정치권의 관심이 이미 총선에 쏠리는 시기임을 고려하면 선거용 인재 차출과 맞물려 임 전 실장이 청와대를 떠날 때 이뤄진 규모 이상의 비서진 교체도 머지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미 지난 3일 현역 의원의 기득권을 내려놓게 하고 정치 소외계층의 참여를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천 룰을 공개하면서 총선 레이스에도 불이 붙기 시작한 모양새다.

지난달 '환경부 블랙리스트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를 받는 신미숙 전 균형인사비서관이 사표를 냈을 당시 여권에서는 이달 중순 김봉준 인사비서관을 추가로 교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김 비서관이 교체된다면 이는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한 문책성 경질이 아닌 총선 대비 차원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실제로 김 비서관은 총선 출마 의향이 있는 참모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출마를 원하는 다른 행정관들도 김 비서관과 함께 청와대를 떠날 수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집권 2주년을 맞는 이달부터 순차적으로 총선 출마를 희망하는 참모들을 내보내 지역 기반을 다질 여유를 주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는 김 비서관을 포함해 10명 안팎 정도가 총선 전 청와대를 떠날 참모진 명단에 오르내린다.



꾸준히 국회 문을 두드렸던 정태호 일자리수석과 조한기 제1부속비서관 등은 시기가 문제일 뿐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할 확률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지난해 8월 청와대 참모진에 합류한 김영배 민정·김우영 자치발전·민형배 사회정책 비서관 등 구청장 출신 비서관들의 출마도 예상된다.

이용선 시민사회수석과 복기왕 정무비서관 역시 대표적인 출마 예상자로 꼽힌다.

유송화 춘추관장은 현 거주지인 구의회 의원을 지낸 노원구 출마 또는 비례대표로 21대 국회 입성을 타진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자신이 출마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조국 민정수석과 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도 총선에 나설 공산이 있어 보인다.

특히 민주당은 문 대통령의 측근으로 스타성까지 갖춘 조 수석이 출마하면 전통적으로 고전해 온 서부 경남 지역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하승창 전 사회혁신수석과 진성준 전 정무기획비서관, 송인배 전 정무비서관, 박수현 전 대변인, 나소열 전 자치발전비서관 등을 포함하면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총선 출마자는 20명을 넘겨 30명에 육박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끊임 없이 차출설이 제기되는 이낙연 국무총리 외에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장관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전·현직 장관으로 범위를 넓히면 문재인 정부 공직자 이력을 달고 나오는 출마자는 40명을 넘긴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현직에서 일을 하고 있는 청와대 비서관 등은 사퇴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사퇴 시점은 현재 맡은 업무와 지역구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김영배 비서관 등 구청장 출신 참모 3인방은 청와대에 근무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지역 기반을 이미 탄탄히 다진 만큼 교체가 늦어질 수 있다.

일자리 정책을 총괄하는 정 수석의 경우 가시적인 '일자리 성과'를 위해 상당 기간 자리를 지켜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의 경우 후임 인선 시기에 따라 사퇴 시점을 알 수 있을 전망이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