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아시아나에 '우량자산 매각·차입 상환계획' 요구
"박삼구 퇴진으로는 불충분"…'중장기 경영계획' 승인되면 MOU 재체결
아시아나 측 "현재 금융공급 유지돼도 충분…사재 대부분 내놓은 상태"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채권단이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우량자산 매각과 시장차입 상환계획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충분한 유동성을 확보하고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이번주 중 1년 만기의 경영개선약정(MOU)을 연장할 계획이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을 비롯한 아시아나항공[020560] 채권단은 아시아나 측이 마련할 자구계획에 이같은 방안이 담겨야 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항공운송에 필요하지 않은 우량자산을 매각하는 등 신용등급을 유지하기 위한 자구노력이 핵심"이라며 "그래야 채권단도 아시아나에 신뢰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박삼구 회장 퇴진으로는 불충분하다"며 "장기적인 경영계획, 즉 아시아나를 앞으로 어떻게 바꿔나가겠다는 비전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조원 넘는 자산담보부증권(ABS) 등 유동성 위기를 초래한 시장성 차입은 아시아나가 영업으로 벌어들이는 현금흐름이 상환 재원이다. 즉 '어떻게 돈을 벌어 어떻게 갚아나가겠다'는 구체적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는 의미다.
당장의 현금 마련과 앞으로의 현금 흐름을 요구하는 셈이다.
선결 과제인 우량자산 매각 대상으로는 금호리조트에어서울·에어부산·아시아나개발·아시아나에어포트·아시아나IDT 등의 지분과 골프장·아시아나타운 등 부동산이 꼽힌다.
이와 관련, 산은과 수출입은행, SC은행, 현대투자파트너스 등 채권단이 장·단기차입금 상환 확보를 위해 이들 자산에 약 1조2천억원 규모로 설정한 담보권 중 일부를 풀어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항공기 82대와 엔진 30대 등을 빌려 쓰는 운용리스료는 최소 3조원으로 추산되는데, 이 비용 충당에는 해외 금융기관이 관계돼 있어서 충분한 현금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게 채권단 시각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이나 금호타이어[073240] 등과 달리 아시아나는 금융권에서 빌린 돈보다 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이 훨씬 많다"며 "신용등급 하락으로 유동성 위기가 한꺼번에 몰리기 전에 강도 높은 자구계획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아시아나의 총 차입금은 지난해 말 기준 3조4천400억원이고 이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할 단기차입금은 1조3천200억원이다. 차입금은 금융리스 부채(41%)와 ABS(36%)가 대부분이고, 금융기관 차입금은 14% 정도다.
주채권은행인 산은은 아시아나가 채권단에 제출할 자구계획을 물 밑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자구계획이 채권단 승인을 받아야 이번 주 만료되는 MOU를 다시 맺고,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을 피할 수 있다.
산은 내부에선 금호타이어, 대우건설[047040], KDB생명(옛 금호생명) 등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관련된 부실기업을 잔뜩 떠안은 데다가, 지난해 금호타이어 매각 과정에서 박 회장과 빚은 갈등으로 '감정의 앙금'도 적지 않다.
일각에선 박 회장의 용퇴에 노림수가 숨어있다거나, 사재출연 압박을 피하려고 '선수'를 친 것으로 의심된다는 견해도 있다.
아시아나 측은 국적항공사이자 기간산업인 점을 고려해 채권단이 '대승적 결단'을 내려주기를 바란다는 분위기다.
아시아나 고위 관계자는 "사실 이번 '감사보고서 사태'는 회계법인과의 이슈였지, 박 회장의 직접적 책임이 아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안 뿐 아니라 지금껏 쌓인 것들을 자신의 퇴진으로 모두 털고 가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사재출연이 거론되는 데도 "대부분 내놓은 것으로 안다"며 "신규 지원을 바라는 게 아니다. 현재의 금융지원을 유지하는 MOU를 다시 맺어 신용등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면 유동성 문제는 자력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지난 28일 "대주주는 어떤 희생을 감수하더라도 아시아나항공의 조기 경영 정상화를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zhe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