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고용률·경제활동참가율 9년 만에 하락…실업률은 5년째↑
2017년 임금근로자 월근로시간 전년보다 1시간12분↓…월급 10만원↑
1인당 GNI 3만弗 첫 돌파…가구주된 후 내집마련에 평균 6.8년 걸려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지난해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9년 만에 하락했고 실업률은 5년 연속 상승했다.
통계청이 22일 공개한 '2018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를 보면 작년 고용률은 60.7%로 2017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고용률은 2009년에 전년보다 1.0%포인트 하락한 후 상승 추세를 보였다가 작년에 9년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의 작년 고용률은 전년과 같은 수준인 66.6%였다.
2018년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년보다 0.1%포인트 떨어진 63.1%였다.
고용률과 마찬가지로 9년 만에 하락했다.
2018년 실업률은 3.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다. 2014년부터 작년까지 5년 연속 상승했다.
작년 실업자 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실업자의 비율은 14.4%로 비교 가능한 통계를 작성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활동인구 조사로 파악된 2018년 전체 취업자 2천682만2천명의 산업별 구성비를 보면 '사업, 개인, 공공서비스 및 기타' 업종의 비중이 36.5%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도매 및 소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22.2%), 제조업(16.8%) 등의 순이었다.
제조업 취업자의 비율은 2013년 통계 작성 후 작년이 가장 낮았다.
직업별 취업자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직군이 20.5%로 가장 많았고, 사무종사자(17.8%), 단순노무 종사자(13.0%)가 뒤를 이었다.
임금근로자는 2천8만4천명(74.9%), 비임금근로자는 673만9천명(25.1%)이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68.6%로 전년보다 구성비가 1.2%포인트 상승했다.
임시근로자는 24.2%, 일용근로자는 7.3%로 전년보다 각각 0.8%포인트, 0.3%포인트 하락했다.
2017년 임금근로자의 월 근로시간은 180.8시간으로 전년(182.0시간)보다 1시간 12분 적었다.
같은 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45만원으로 전년보다 10만원 많았다.
제조업은 366만원으로 5만원 올랐다.
시간당 임금은 고졸 근로자가 1만2천334원이었다.
중졸 이하는 고졸 임금의 84.8%, 전문대졸은 113.2%, 대졸은 152.4%, 대학원졸은 243.3% 수준이었다.
고졸과 전문대졸 이상 근로자의 임금 격차는 전년보다 감소했다.
2017년 임금근로자의 35.2%는 자신이 하는 일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만족 비율은 2년 전 조사 때보다 4.4%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근로시간에 만족한다는 답변 비율은 24.3%에서 28.0%로 올랐다.
2018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1천349달러로 전년(2만9천745달러)보다 5.4% 상승했다. 사상 처음으로 3만달러를 넘었다.
작년 4분기 기준 2인 이상 가구(농어가 제외)의 월평균 소득은 460만6천원으로 전년 동분기(444만5천원)보다 3.6%(실질 기준 1.8%) 증가했다.
2017년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55만7천원이었고 이 중 교통비 비중이 14.4%로 가장 컸다.
2018년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1천573만원으로 전년보다 7.5% 증가했다.
같은 시점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7천531만원으로 전년보다 6.1% 늘었다.
2017년 기준 주택 소유 여부와 관계없이 가구주가 된 이후 주택을 마련하는 데 걸린 기간은 평균 6.8년으로 전년(6.7년)보다 0.1년 늘었다.
소득수준별로 보면 월 소득 220만원 이하 저소득층은 7.7년이 걸렸고 월 소득 221만∼430만원인 중소득층은 6.5년, 월 소득 431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6.2년이 걸렸다.
2017년 주택보급률은 전년보다 0.7%포인트 오른 103.3%였다.
2018년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1.09%로 전년(1.48%)과 최근 5년 평균 상승률(1.54%)보다 낮았다.
2018년 자동차 등록 대수는 2천320만3천대로 전년(2천252만8천대)보다 3.0% 늘었다.
자가용이 1천766만3천대로 전체의 76.1%를 차지했다.
가구당 0.89대, 1인당 0.34대를 보유한 셈이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