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발전 87%' 울릉 에너지자립섬 없던 일로…내달 결정·청산(종합)
포항지진 촉발 결과에 사업 불가능…경북도 이미 사업 중단 밝혀
(안동=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울릉도의 디젤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이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해 촉발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옴에 따라 백지화됐다.
울릉 에너지 자립섬 사업은 태양광, 소수력, 풍력, 지열 가운데 지열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87%를 차지한다.
이 때문에 경북도는 정부연구단 조사결과가 나오기 전에도 에너지 자립섬의 핵심인 지열발전 논란으로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경제성이 떨어진다고 분석해 사업 중단 의사를 밝혀왔다.
또 지난 1월에는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 등이 참여한 특수목적법인 이사회에 향후 추진 방향을 안건으로 상정하고 중단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달했다.
이사회에서 특수목적법인 대주주인 한국전력과 LG CNS는 정부연구단의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 분석 결과를 지켜본 뒤 자체 주주 의결 등을 거쳐 방침을 결정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에 특수목적법인은 다음 달 이사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기로 했으나 정부연구단이 포항지진이 지열발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이들 민간기업도 사업 포기를 결정할 것으로 도는 전망한다.
이사회 결정 후 법인 청산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며 청산에는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본다.
특수목적법인 주주사들은 이미 지난 10월 파견 인력 전원을 복귀시키고 상근이사를 비상근이사로 전환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논란이 일 때부터 사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했고 경제성도 떨어져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며 "지열발전이 포항지진을 촉발한 것으로 나온 만큼 사업 추진이 불가능해졌다"고 말했다.
도는 민간기업과 함께 2015년부터 2026년까지 2천685억원을 들여 울릉도에 기존 디젤발전을 중단하고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을 사용하는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을 만들기로 했다.
애초에는 연료전지 비중이 높았으나 정부가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가 아니고 운영비가 많다는 이유로 연료전지 설비용량을 감축하고 지열발전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이에 지열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87.5%로 핵심이 됐다.
도는 사업 추진을 위해 2014년 10월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 도화엔지니어링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특수목적법인(울릉에너피아)을 설립해 2015년 10월 착공식을 했다.
2016년 2월 기본설계를 마치는 등 지금까지 특수목적법인 총 출자금 268억원 가운데 116억원을 투입했다.
하지만 산업부는 2016년 10월 유가 하락으로 도서 지역 디젤발전 운영비가 줄어들자 유가 하락과 함께 감소한 디젤발전 운영비 한도 안에서만 신재생에너지 사업자를 지원하는 내용으로 고시를 개정해 수익성이 떨어졌다.
이어 2017년에는 핵심인 지열발전이 포항지진으로 논란에 휩싸여 직격탄을 맞았고 20일 정부조사연구단이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에 의해 촉발됐다"고 발표해 울릉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은 사업 추진 5년 만에 없던 일이 됐다.
도는 앞으로 공항 건설 등으로 울릉 전기 수요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에너지 자립섬 대신 다른 공공사업을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전기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디젤발전을 확충하지 않고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쪽을 생각하고 있으나 태양광과 풍력은 울릉도 여건에 맞지 않는 것으로 분석해 어려움이 따를 전망이다.
정부연구단 "포항지진은 지열발전소가 촉발…자연지진 아냐" / 연합뉴스 (Yonhapnews)
har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