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택대출 분할상환 비중 50% 돌파…DTI는 30% 하회

입력 2019-03-03 07:01
은행 주택대출 분할상환 비중 50% 돌파…DTI는 30% 하회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지난해를 기점으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중 분할상환 방식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자의 현금 흐름을 살피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은 2년째 30%를 하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3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부채의 질 측면에서 이런 변화가 포착됐다.

먼저 은행 주택담보대출 중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 방식이 지난해말 기준 51.6%를 기록했다.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 방식이 은행권 주택대출의 50%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가 처음이다.

금융당국이 만기일시상환 방식의 대출을 지양하고 비거치 분할상환 대출을 권장하면서 분할상환 대출 비중은 2010년 6.4%에서 2011년 7.7%, 2012년 13.9%, 2013년 18.7%, 2014년 26.5%, 2015년 38.9%, 2016년 45.1%, 2017년 49.8% 등으로 지속적인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

50% 비중을 넘어섰다는 것은 분할상환 방식이 만기일시상환 방식을 넘어 대세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원금 균등분할상환은 대출한 원금을 똑같이 나눠서 갚는 방식이므로 만기로 가면 갈수록 잔금이 줄고 이에 따라 이자도 줄어 상환금이 줄어드는 구조다. 원리금 균등분할은 원금과 이자를 나눠 갚으므로 1회부터 만기까지 상환금이 같다.

만기일시상환 방식은 대출 기간 중 이자만 갚다가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한꺼번에 갚는 방식인데 이는 대출금을 갚아나가는 대출이라기보다 주택을 매각한 후 대출금을 한 번에 정리하는 투기성 자금인 경우가 많아 금융당국은 균등분할상환 방식의 대출을 권장해왔다.



전체 대출에서 고정금리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지난해말 은행권의 주택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45.0%로 역시 역대 최고치다.

2017년말과 비교해보면 0.5%포인트 오른 수치다. 다만 최근 전반적인 흐름과 비교했을 때 상승곡선은 다소 완만해졌다. 변동금리가 고정금리에 비해 유리한 국면이었던 데다 사실상 변동금리 상품인 전세자금대출이 급증한 여파다.

금융당국은 통상 만기가 5년 이상이면서 고정금리가 유지되는 대출, 금리 변동주기가 5년 이상인 대출을 고정금리 대출로 간주한다.

지난해 초 금융당국이 제시한 고정금리 목표치가 47.5%, 비거치식 분할상환 목표치가 55.0% 였음을 감안하면 목표에는 다소 미흡하나 고정금리나 비거치식 분할상환 비중을 늘리는 거시적인 목표 달성에는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권의 DTI 비율은 29.6%로 2017년말 29.1%에 이어 2년째 20%대를 유지했다.

2012년말 39.3%로 고점을 기록한 DTI 비율은 이후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 2017년말 처음으로 29.1%로 20%대를 기록한 바 있다.

DTI는 모든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과 기타대출 이자상환액을 더한 값을 연간소득으로 나눈 개념이다. 전체 소득에서 대출 상환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는 개념으로 비율이 낮을수록 대출은 건전하다고 할 수 있다.

지난해 4분기에 DTI보다 더 강력한 현금흐름 규제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시행됐음을 감안하면 지난해 연말 기준 DTI 비율은 2017년보다 낮아졌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지난 11~12월 중 은행권 신규 가계대출 17조9천억원의 평균 DSR은 47%로 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6월의 72%와 비교하면 ⅔ 수준으로 원리금 상환액이 줄었다는 의미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51.9%로 2013년(51.0%)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상환능력에 기반한 대출 취급 관행이 자리 잡도록 기존 대출 규제를 유지하고 2분기 중에는 제2금융권에 DSR 규제를 관리지표화하는 등 상환능력을 갖춘 실수요자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취급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