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 인공장기·초경량수송체' 등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입력 2019-02-28 10:02
수정 2019-02-28 10:23
'3D프린팅 인공장기·초경량수송체' 등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KISTEP "제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소재분야 대상 기술 선정"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28일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분야의 미래유망기술로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필름, 3D 프린팅 인공장기, 완전 직물형 웨어러블 소자 등 10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은 2009년부터 시행됐으며 2013년부터는 우리나라 미래사회의 핵심 이슈를 매년 선정, 사회적 수요가 높은 미래유망기술을 도출하고 있다. 올해는 '소재 분야'를 대상으로 했다.

선정된 10대 미래유망기술은 ▲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필름 ▲ 손실된 인체 감각을 대체하는 기기용 소재 ▲ 3D 프린팅 인공장기 ▲ 불이 안 나는 고성능 고체 전해질 ▲ 수송용 고속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 무겁지 않은 초경량 수송체 ▲ 1억℃ 이상의 극한 환경을 견디는 차세대 핵융합 소재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 자율적으로 수명을 제어하는 화학소재 ▲ 완전 직물형 웨어러블 소자이다.

이번 미래유망기술 선정은 먼저 기술개발이 이뤄진다면 목표제품/서비스의 변혁을 가져올 수 있는 후보군을 환경·바이오·에너지·전자 등 4개 분야로 구분, 출연연 전문가가 참여한 정성적 분석과 인터넷 뉴스, 기술·산업 동향 보고서, 논문 DB 등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을 결합해 도출했다.

이어 도출된 33개 제품/서비스 후보군에 대해 소재 분야 산학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술적 혁신성, 시장 파급효과, 10년 내외 실현 가능성 등 3가지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최종 10대 미래유망기술을 선정했다.

연구를 수행한 임현 선임연구위원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소재 분야의 10대 미래유망기술'은 기반기술인 소재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중국 등의 신흥국 추격에 의한 주력산업의 위기를 극복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2019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

┌──────┬──────┬───────────────────────┐

│분야│기술명 │세부 내용 │

├──────┼──────┼───────────────────────┤

│Environment │친환경 바이 │(정의) 식품/의약품 포장재로 적용 가능하며 인체│

│(of Things) │오플라스틱 │에 대한 무해성이 검증된 투명하고 생분해가 가능│

││필름│한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기술 │

│││(활용)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기존│

│││ 포장재 소재의 대체, QR과 RF를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관련 제품을 트래킹하거나 소비자에 정보 │

│││제공 가능 │

├──────┼──────┼───────────────────────┤

│Bio ││(정의) 인체의 손실된 감각을 재생 또는 복원하거│

│(of Things) ││나 증강하기 위한 기술로서, 인체가 느끼는 수준 │

│││이상의 감각 감지 능력을 제공하는 센서 기술과 │

│││뇌/신경기반의 감각 인지/자극 디바이스 기술이 │

││손실된 인체 │융합된 인체감각 대체기기 기술 │

││감각을 대체 │(활용) 인간의 고령화로 인해 상실되어 가는 감각│

││하는 기기용 │기의 대체, 장애인의 손실된 감각 재생 등에 활용│

││소재│되어 삶의 질 개선 기대│

│├──────┼───────────────────────┤

││3D 프린팅 인│(정의) 바이오 프린팅의 한 분야로서 살아있는 세│

││공장기 │포를 원하는 형상 또는 패턴으로 적층하여 조직이│

│││나 장기를 제작 할 수 있는 기술│

│││(활용) 신체 장기수급, 면역 반응 등 이식 치료 │

│││시 야기되는 문제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환자의 │

│││조직, 장기 등의 재생치료에 활용 │

├──────┼──────┼───────────────────────┤

│Energy │불이 안 나는│(정의) 고체 상태에서 이온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of Things) │ 고성능 고체│ 기존 리튬이온전지의 발화성 유기 액체전해질을 │

││전해질 │대체하여 전지 안전성 및 고에너지밀도 확보의 획│

│││기적인 개선이 가능한 기술 │

│││(활용)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 없이 1회 충전으로│

│││ 장거리 이동이 가능한 전기차가 널리 보급된 친 │

│││환경적 에너지효율화 사회 구현 │

│├──────┼───────────────────────┤

││수송용 고속 │(정의) 현재 100% 충전에 약 6시간가량 소요되는 │

││충방전이 가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축소하고│

││능한 배터리 │ 동시에 출력 특성도 향상시킨 전기차용 리튬이차│

│││전지 기술 │

│││(활용) 에너지 밀도나 성능의 손실 없는 급속 충 │

│││전이 가능한 리튬이차전지가 개발/상용화되어 커 │

│││피나 간단한 다과 후 충전이 완료된 전기차를 타 │

│││고 목적지로 이동 │

│├──────┼───────────────────────┤

││더 이상 무겁│(정의) 개인 및 공공 인프라의 넓은 영역을 차지 │

││지 않은 초경│하는 수송기기(수송체)가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

││량 수송체 │는 에너지 절약, 엄격한 환경규제조건을 충족시킬│

│││ 수 있는 차세대 기술 │

│││(활용) 자율주행 엔진기반차, 하이브리드차, 전기│

│││차, 수소연료전지차 등의 미래수송기기 차체 및 │

│││하중부재용으로 연속섬유 복합재의 사용 │

│├──────┼───────────────────────┤

││1억 ℃ 이상 │(정의) 핵융합 발전 기술의 개발을 위해서 중수소│

││의 극한의 환│와 삼중수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발생되는 에너지 │

││경을 견디는 │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블랑켓(blanket) 및 자기│

││차세대 핵융 │장 구조를 이용하여 플라즈마로부터 하전입자와 │

││합 소재 │열속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버터(diverto│

│││r) 소재개발 기술 │

│││(활용) 핵융합 소재 개발 기반으로 핵융합 발전로│

│││ 상용화를 통한 깨끗하고 안전한 대량 에너지원 │

│││확보 │

├──────┼──────┼───────────────────────┤

│Electronics │스트레처블 │(정의) 늘였다 줄였다가 가능하고 자유로운 외관 │

│(of Things) │디스플레이 │의 변형 및 대면적 저원가 생산이 가능한 진정한 │

│││의미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 │

│││(활용)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Skin 스마트폰, │

│││자유곡면 이중 곡률(double curvature)의 초박 자│

│││동차용 디스플레이, E-skin 패치 디스플레이를 통│

│││한 개인 헬스모니터링, 스트레처블 벽면 디스플레│

│││이 등을 통한 사물인터넷 활성화│

│├──────┼───────────────────────┤

││자율적으로 │(정의) 외부환경에 대해 전주기적이고 자율적인 │

││수명을 제어 │자가 보호, 보고, 치유 및 분해 제어 가능 기술 │

││하는 화학소 │(활용) 전력이 없거나 저전력 상태에서도 일상생 │

││재 │활에서 일어나는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여 전달할 │

│││수 있는 IoT용 소자에 활용될 수 있으며, 도로, │

│││교량, 건축물 등에서 발생하는 이상 징후를 스스 │

│││로 보고하여 재난을 미리 방지하고, 일정 수준까 │

│││지 물성을 회복하여 구조물의 안전 신뢰도 제고에│

│││ 기여 │

│├──────┼───────────────────────┤

││완전 직물형 │(정의) 액세서리 형태의 ‘착용할 수 있는’ IT │

││웨어러블 소 │기기가 아닌 섬유, 직제, 의류 기술과 IT 기술이 │

││자 │융합하여 직물을 통해 입력, 출력, 처리, 저장 등│

│││의 기본적인 전기전자 기능 수행이 가능한 ‘입는│

│││’ IT 기기 기술 │

│││(활용) 기존의 전기·전자·통신 기술이 전자섬유│

│││ 기술로 융합되어 RFID, 집적회로, 디스플레이, │

│││센서, 나노 제너레이터, 배터리 등 능동형 전자소│

│││자를 내장하거나 섬유 자체를 통해 첨단 디지털 │

│││기능을 구현 │

└──────┴──────┴───────────────────────┘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