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속 3·1 운동] ⑥ 美 타임스스퀘어에 울려퍼진 독립선언…세계가 눈뜨다
자치능력 없다던 NYT의 변신 "韓, 세계에 능력 증명…4천여년 한민족, 일제에 저항"
재미 독립운동가의 치열한 지면논쟁…'친일' 美지식층 기고엔 곧바로 반박
※ 편집자주 = "조선 독립 만세".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한반도 전역을 울렸던 이 함성은 '세계'를 향한 우리 민족의 하나 된 외침이었습니다. 한민족이 앞장서 '행동'함으로써 제국주의에 신음하던 아시아·아프리카 식민지의 각 민족을 자각시켜 함께 전 세계적 독립운동을 끌어가자는 외교적 호소였습니다. 강대국의 이권 다툼이 판치던 당시 국제질서는 1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자격을 얻었던 일본 편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기고만장하던 일본이 두려워한 것이 하나 있었습니다. 바로 국제사회의 여론을 움직이는 외신 보도였습니다. 당시 일본은 3.1운동 초기 보도통제와 '프레임 조작'으로 관련 보도를 막는 데 그야말로 전력투구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의 문제이지, 진실을 감출 순 없었습니다. 독립운동의 산실이었던 중국 상하이(上海)로부터 시작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뉴욕, 워싱턴 D.C.에 이어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 로마, 러시아 모스크바, 브라질 상파울루, 싱가포르로 3·1운동 소식은 요원의 들불처럼 번져나갔습니다. 길지 않은 기사도 많았지만 이에 자극받은 각 식민지 국가에서는 앞다퉈 독립선언문이 나오면서 민족적 독립운동이 촉발됐습니다. 비록 한민족이 '자립'(自立)에는 실패했지만, 외신의 창(窓)을 통해 민족 자결과 독립에 대한 세계의 눈을 뜨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전 세계에 포진한 특파원망을 총동원해 당시 외신 보도들을 발굴해 시리즈로 보도합니다. 지금까지 3·1운동을 보도한 외신 일부가 부분적으로 소개된 적은 있지만, 세계 주요국 별로 보도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발굴해 소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관련기사>
[외신속 3·1 운동] ① 그 날 그 함성…통제·조작의 '프레임' 뚫고 세계로 [http://www.yna.co.kr/view/AKR20190207090000009?input=1195m]
[외신속 3·1 운동] ② 日언론엔 '폭동'뿐…총독부 발표 '앵무새' 전달 [http://www.yna.co.kr/view/AKR20190213157000073?input=1195m]
[외신속 3·1 운동] ③ 상하이서 첫 '타전'…은폐 급급하던 日, 허 찔렸다 [http://www.yna.co.kr/view/AKR20190214084600097?input=1195m]
[외신속 3·1 운동] ④ 韓人 여학생이 띄운 편지, '대륙의 심금'을 울리다 [http://https://www.yna.co.kr/view/AKR20190208154700089?input=1195m]
[외신속 3·1 운동] ⑤ 샌프란發 대서특필…美서 대일여론전 '포문' 열다[http://https://www.yna.co.kr/view/AKR20190214006800075?input=1195m]
(뉴욕=연합뉴스) 이준서 특파원 = 일제의 지배를 거부한 민족적 항쟁인 3·1운동의 열기가 막바지에 이르렀던 1919년 4월 하순.
미국의 유력지 뉴욕타임스(NYT)의 4월 24일 사설면에 '한국'(Korea)이라는 한 단어의 제목이 등장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인들은 자치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놀라운 정도의 애국심과 자제력, 조직 능력을 보여줬다"면서 "한국인들은 세계가 생각하는 것보다 정치적으로 훨씬 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일본의 폭압적인 탄압을 나열하면서 "일본이 민족주의 운동을 억압하는 방식은 그들 스스로에게도 좋지 않다"면서 "최근 몇년간의 군사적 통치는 한국은 물론 일본의 이익도 훼손하리라는 것을 많은 일본인이 깨닫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2천만명을 친구로 만들지, 아니면 적으로 만들지는 일본 그들에게 달렸다"고 지적했다.
일본의 한국 지배를 정면으로 반대한 것까지는 아니지만, 일본에 우호적인 서구열강의 주류언론으로서는 사실상 처음으로 3·1운동의 숭고한 정신에 지지 입장을 공식화한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승전국으로서 열강의 반열에 올라섰던 미국의 심장부, 바로 뉴욕에서였다.
시기적으로는 뉴욕타임스가 1904년 맨해튼 42번가 앞 광장(현재의 타임스스퀘어)으로 본사를 옮기고 '세계의 신문'으로 도약하던 무렵이었다.
3·1운동의 소식이 서서히 전파되기 시작한, 불과 한 달 전 사설에서 한국의 독립 의지를 폄훼했던 것과 비교하면 180도 달라진 논조이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집트와 한국'(Egypt and Korea)이라는 제목의 3월 20일 자 사설에서 "이집트와 한국은 자치권뿐만 아니라, 그들의 자치능력에 대해서도 질문을 던지고 있다"면서 "이집트와 한국은 자체 정부의 무능력 탓에 각각 영국과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영국의 이집트 지배는 안전과 상당한 번영을 가져왔고, 일본의 한국 지배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뉴욕타임스의 전격적인 변신은 한국인들의 자립 의지를 과소평가했던 미국 여론이 '대한독립'의 구호를 새롭게 평가하는 전환점이기도 했다.
그리고 2개월 가까이 시간이 흐른 6월 15일.
'한국, 독립을 선언하다'(Korea Proclaims Independence)라는 제목의 기사가 뉴욕타임스의 6면 전면을 장식했다. "일본 치하의 조선이 강권의 구질서에 저항하고, 자유를 선언했다"는 부제목이 달렸다.
장문의 기사에는 민족대표 33명이 서명한 독립선언문의 영문번역본 전문이 게재됐다.
독립선언문의 첫 문장 '오등(吾等)은 자(玆)에 아조선(我朝鮮)의 독립국임과 조선인의 자주민임을 선언하노라'는 'We herewith proclaim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liberty of the Korean people'로 영역했다.
뉴욕타임스는 1894년 청일전쟁과 1904년 러일전쟁을 거쳐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이어지는 한민족 수난사, 1907년 헤이그 특사의 행보도 간략히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을 "4천252년 역사의 옛 은둔의 왕국(Hermit Kingdom)"으로 소개하면서 "한국은 청일전쟁의 전리품으로 (승전국인)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됐다. 그렇지만 아주 오랜 민족성을 포기할 의사가 없다"라고 전했다.
한국의 독립운동을 재평가하는 시각 속에 3·1운동의 후속 보도가 잇따라 이어졌다.
4월 13일에는 일본 도쿄발 AP통신 기사를 인용해 독립운동이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동시에 미 샌프란시스코발 기사에서 "일본이 시위대를 학살하고 있다"고 전했다.
5월 13일에는 프랑스 파리발로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한 한국 대표들의 활동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스는 기사에서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요구하는 한국인들의 청원이 '파리 강화회의'에 제출됐다"면서 "이 청원은 한국을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1910년 국권침탈을 무효로 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에 우호적인 미국 논조에 제동을 걸려는 재미 독립운동가들의 치열한 노력이 이러한 주류매체의 변화를 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의 그해 3월20일자 기사에서 드류신학대학 에드문드 데이비슨(E.D.) 소퍼 교수는 3·1운동을 "아직 자치의 준비가 돼 있지 않은 한국인에 의한 소요"라고 말하면서 일제 지배하에서 도덕적으로, 경제적으로 개선됐다는 주장을 폈다. 뉴욕타임스가 '이집트와 한국'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게재한 날이기도 하다.
일본 태생의 E. D. 소퍼 교수는 일본식 식민지 근대화론을 펼쳤던 친일 지식인으로 꼽힌다.
이튿날인 3월 21일 자에는 '한국의 호소'(Korea's Appeal)라는 제목의 기고문이 실렸다. 기고자는 헨리 정. 훗날 상하이임시정부 외무위원을 지낸 독립운동가 정한경이었다.
일제의 '식민지 근대화론'과는 달리, 실제로는 한국이 철저하게 수탈당하면서 일본에 종속되고 있다고 조목조목 주장하면서 '이집트와 한국' 사설에 반박했다.
헨리 정은 "자치능력이 부족한 이들에게는 권리가 없다는 당신들의 정치적 철학에는 동의한다"면서 "그렇다면 일본 같은 군국주의 나라들에는, 자치능력이 없다는 전제하에 다른 국민들의 열망을 짓밟을 권리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지금 모든 한국인은 자치능력을 증명할 기회를 원하고 있다"면서 "미국식 민주주의의 본질은 기회의 균등이다. 오늘날 한국인은 그들의 가능성을 개발할, 빼앗길 수 없는 권리를 박탈당했다"고 호소했다.
헨리 정은 "능력이 없다는 가정하에 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어린 여자아이에게 수영을 배워야 한다면서 정작 (위험하니) 물가에 가지 말라는 것과 같다"고 적었다.
뉴욕타임스의 3월 23일 자 발행분에는 '한국의 독립'(Korea's Independence)이라는 익명의 기고문이 게재됐다.
뉴저지주 매디슨에 거주하는 '한국의 아들'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기고자는 "E.D. 소퍼 교수의 태도는 완전히 친일본적"이라며 "일본은 전 세계적으로 부도덕한 나라다. 그런 부도덕한 나라가 어떻게 식민지의 도덕 기준을 높일 수 있겠는가"라고 반박했다.
기고자는 1917년 9월 한국을 떠났다고 소개하면서 "당시 서울의 교정당국자로부터 1만1천명 이상의 정치범들이 수용돼 있었다고 들었다"면서 "이는 일본의 독재적인 압제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국에 대해 "4천200년 동안 자주 민족이었다"고 강조하면서 "독재의 발꿈치 아래 고통받는 극동의 벨기에"라고도 덧붙였다.
뉴욕타임스가 4월 24일자 사설을 통해 3·1운동을 공식 지지한 이후에도 미국 지식인들의 친일적 주장은 이어졌다.
조지 T. 래드 예일대 교수는 5월 11일 자 '한국 봉기의 원인'(Causes of the Korean Uprising)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비밀 조직들의 선전, 선교사들의 반항적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3·1운동을 폄훼했다.
래드 교수는 기고문에서 폭도(mob), 폭동(riot), 반란(revolt) 등의 부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면서 일본에 우호적인 주장을 펼쳤다.
일본 욱일장을 받은(1921년 뉴욕타임스 부고기사) 대표적인 친 일본 지식인이었다.
일주일 뒤, 이승만 박사는 '일본에 대항하는 한국'(Korea Against Japan)이라는 제목의 5월 18일 기고문에서 "래드 교수의 칼럼에 대해선 확실한 답변이 필요한 것 같다"면서 "2천만명이 극심한 고통 속에서 독립을 위해 투쟁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래드 교수가 '비밀결사에 의해 촉발된 수동적인 혁명이 한국이 진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대체 이런 정보는 어디에서 나온 것인가"라며 "래드 교수는 단지 미국에 있는 일본 선전가들의 말을 속삭이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뉴욕타임스 5월 21일 자에는 헨리 정이 "한국의 독립운동은 일부 지식인이나 급진적인 선동가에 의한 것이 아니다"면서 "일반 대중, 모든 종교의 남녀들이 군사적 압제로부터 자유를 외친 것"이라는 내용의 기고문을 올렸다.
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