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미래 먹거리 찾아"…소프트웨어·유통업체도 출사표

입력 2019-01-27 06:05
[인터넷은행] "미래 먹거리 찾아"…소프트웨어·유통업체도 출사표

위메프·티맥스·핀크·BGF 등 설명회 등장…선 그으면서도 합종연횡 모색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홍정규 박의래 한혜원 기자 = 지난 23일 금융당국이 진행한 인터넷 전문은행 인가심사 설명회를 찾은 기업은 금융사와 정보통신기술(ICT)사에 그치지 않았다.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 유통업체 등 다양한 업계의 중견기업들이 사실상 출사표를 던졌다.

참가 기업들은 대부분 '호기심 수준'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지만 인가심사 설명회까지 참석할 정도라면 이런 수준은 넘어선 것이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관건은 어떤 업체와 짝짓기를 할지다. 현재까지 등장한 업체들의 면면을 보면 기술력이 있는 업체는 자본력이 부족하고 자본력이 있는 금융사는 혁신성이 부족하다.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강력한 우군을 찾아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합종연횡'의 판이 벌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27일 자유한국당 김종석 의원이 금융위원회에서 받은 인터넷 전문은행 인가 심사 설명회 참석기업 명단을 보면 위메이크프라이스(위메프), 티맥스소프트·티맥스OS, 핀크, BGF 등이 포함됐다.

먼저 위메프는 2010년 설립한 전자상거래 업체로 직원 1천800명을 두고 있다. 하루 거래액 480억원, 하루 평균 구매 100만 건에 달하며 모바일 거래 비중이 80%다.

이들은 간편결제 사업 '원더페이'를 운영하고 있고 핀테크 업체인 토스와 결제시스템 연동도 됐다. 작년 10월 국민은행과 연계한 판매업자 대출도 내놨다.

쿠팡, 티몬과 함께 3대 소셜커머스 업체로 사업 초기 주목받았으나 출혈 경쟁이 심해지며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2017년 말 현재 자본총계는 -2천400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여서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인터넷 전문은행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려면 자본과 동맹이 필요하다. 다만 혁신성 측면에서 본다면 상당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다.

위메프 관계자는 "실무부서가 스터디 차원에서 간 것이고 사업 추진 단계는 아니다"며 "비유하자면 모델하우스를 보러 간 것"이라고 말했다.



티맥스소프트는 기업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기업으로 은행 전산 소프트웨어도 생산한다.

농협은행 채권관리시스템과 신한은행 글로벌플랫폼시스템이 티맥스소프트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국민은행과는 차세대시스템 소프트웨어 선정을 놓고 소송 중이다.

티맥스소프트는 현재 상장을 준비하고 있고 작년 사모펀드(PEF) 린드먼아시아인베스트먼트에서 700억원을 투자받는 등 성장세다.

같은 그룹 계열사인 티맥스OS도 설명회를 들었다.

혁신성 측면에서 평가를 받을 요소가 있고 중견기업 중에선 나름의 자본력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핀크는 하나금융지주(51%)와 SK텔레콤(49%)이 합작한 핀테크 회사로 2017년 9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용자 동의를 받아 은행 계좌와 신용카드 사용 내용을 분석하고 지출 규모, 소비습관, 금융자산 현황 등을 정리해 제공한다.

핀크는 '생활금융플랫폼'을 표방하며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작년 9월에 2030 세대를 위한 한도 50만원짜리 마이너스통장을 내놓았다. 12월에는 은행 계좌를 최대 5개까지 연결하고 주거래 계좌를 실시간으로 바꿔 결제할 수 있는 '핀크카드'를 출시해 현재까지 3만9천장이 발급됐다.

핀크는 이미 핀테크 기업으로서 나름의 혁신성을 갖고 있지만 인터넷 전문은행에 본격 진출하려면 자본력 있는 또 다른 ICT 회사와 손잡는 게 안전하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은 이번 은산분리 완화 대상에서 제외되는데 핀크의 배후에는 SK·SK텔레콤이 있기 때문이다.

핀크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에는 호기심이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BGF도 설명회 문을 두드렸다. BGF는 CU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과 물류배송사 BGF로지스,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사 BGF네트웍스 등을 계열사로 둬 촘촘한 유통 접점을 갖췄다.

BGF리테일이 2015년 인터파크 등과 손잡고 'I뱅크' 출범을 추진했으나 인가를 받지 못했다. 이번에는 인터파크 외 다른 기업과 손잡고 재도전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초기에 1조원 안팎의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인터넷 전문은행 특성상 이들 기업이 독자적으로 인가 신청서를 내기는 어렵다. 즉 은행이나 증권·보험사 등 금융자본과 손을 잡아야 한다.

이들이 '단순 호기심' 정도로 선을 긋는 것도 돈을 댈 금융사 등 컨소시엄을 확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형 전주들은 여러 ICT 기업과 합종연횡을 모색하되 더 강한 '대어급' ICT 기업을 찾는 분위기다.

법무·회계법인 뒤에 있는 모습을 드러내기 꺼리는 대형 ICT 기업이 이런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나 엔씨소프트, 넥슨 등 대형 ICT사의 등장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hy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