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체감경기지수 2014년 이후 지속 하락"…문제는 일자리
청년실업 심화, 기업 해외이전 등으로 중기 가동률 부진이 배경
이주열 "체감경기 개선엔 고용증대가 가장 중요"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한국 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가며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어섰지만 체감경기는 2014년부터 계속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일자리였다. 청년실업 심화와 중소기업 부진이 체감경기 악화의 주 배경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24일 경제전망보고서에 실은 '경제 내 상대적 격차에 따른 체감경기 분석' 자료에서 상대체감지수가 2013년 2분기 0.21을 기록한 뒤 하락세를 보여 2018년 3분기 -0.6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상대체감지수와 경제성장률 등 경기지표와 차이도 2014년 이후 확대되는 모습이었다고 말했다.
한은은 상대적 격차에 따른 체감경기를 가늠하기 위해 상대체감지수를 추정했다고 밝혔다.
업종별 소득 격차, 업종별 생산 격차, 세대 간 실업률 격차, 생활물가 격차, 기업규모별 가동률 격차 5개 변수를 가중평균했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단순하게 합한 오쿤의 고통지수에 착안한 것이다.
업종별 소득 격차가 커지는 것은 자본집약적 업종에서 부가가치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가령, 노동집약적인 업종보다 반도체와 같이 고용이 많지 않은 업종의 성과가 좋은 경우다.
업종별 생산 격차가 크다는 것은 과거에 비해 불황인 업종이 많다는 뜻이다. 주력산업 업황이 좋지 않으면 수치가 크게 나온다.
세대 간 실업률 격차는 청년실업률과 전체 실업률 간 차이다.
생활물가 격차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활물가지수 간 차이이고 가동률 격차는 중소기업과 전체 가동률 차이다.
한은은 상대체감지수가 계속 하락한 배경에는 세대 간 실업률 격차와 대·중소기업 간 가동률 격차가 주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과 우리나라 주력 산업 부진, 기업 해외 이전 등으로 중소기업에서 일자리가 줄고 청년 실업률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즉 단순히 경기적 요인이 아니라 누적된 다양한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 결과라는 것이다.
다만 물가상승률이 최근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체감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후 기자간담회에서 체감경기를 개선하려면 고용증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개인 입장에서는 일자리가 생기고 임금이 늘어나며 소득이 뒷받침돼야 경기가 좋아졌다고 체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