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9년만에 가장 적게 늘었다…실업률 3.8%, 17년만에 최고(종합2보)

입력 2019-01-09 10:39
일자리 9년만에 가장 적게 늘었다…실업률 3.8%, 17년만에 최고(종합2보)

작년 고용률 금융위기 후 9년만에 첫 하락…실업자 3년째 100만명 상회

정부 "인구·산업구조 변화 영향…고용의 질은 상용직 증가 등 개선 흐름"

(세종=연합뉴스) 이세원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취업자 변화를 기준으로 본 지난해 일자리 수는 9년 만에 가장 적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동월과 비교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달 다시 줄어들었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18년 12월 및 연간 고용 동향을 보면 지난해 연평균 취업자는 2천682만2천명으로 2017년보다 9만7천명 증가했다.

작년 취업자 증가 폭은 세계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8만7천명 감소한 이후 9년 만에 최저치가 됐다. 2017년에는 취업자가 31만6천명 늘었다.

가장 최근 흐름을 보여주는 작년 12월 취업자는 2천663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3만4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작년 11월 취업자 증가 폭이 16만5천명을 기록해 10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었으나 결과적으로 '반짝 회복'에 그칠 공산이 커진 셈이다.



작년 실업자는 107만3천명으로 2016년부터 3년째 100만명을 웃돌았다.

특히 1999년 6월 통계 기준을 바꾼 이래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후로는 가장 많았다.

작년 실업률은 3.8%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올랐다. 2001년 4.0%를 기록한 후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지난해 9.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20대 후반(25∼29세) 실업률은 8.8%로 0.7%포인트 낮아지는 개선세를 보였다.

그러나 청년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지난해 22.8%로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실업자가 2000년 이후 가장 많은 것을 두고 "고용상황 부진 영향도 있지만, 그동안 인구증가에 따라 비례해서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 현장에서 숙련도가 높은 연령대인 40대의 고용지표가 특히 좋지 않았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2017년보다 11만7천명 줄었다.

1991년 26만6천명 감소한 후 2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이 연령대의 실업률은 2017년 2.1%에서 2018년 2.5%로 급등하고 고용률은 79.4%에서 79.0%로 하락했다.

30대 취업자 수는 6만1천명 줄어 3년 만에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반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3만4천명 늘었다.



작년 연간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과 농림어업, 정보통신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등에서 늘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했다.

특히 비교적 질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에서는 취업자가 전년보다 5만6천명 감소했다.

작년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4만5천명 증가했다.

임시근로자는 14만1천명, 일용근로자는 5만4천명 줄었다.

직업별로 보면 단순노무 종사자가 5만명,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가 7만2천명 줄어드는 등 상대적으로 직능 수준이 낮거나 고용시장에서 취약한 위치에 있는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다.

비임금 근로자는 전년보다 5만2천명 줄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4만3천명 증가했으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7천명 감소했다.

통계청은 제조업 등 경기 부진으로 영세 자영업자들이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풀이했다.



작년 연간 고용률은 60.7%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내렸다. 연간 고용률이 하락한 것은 2009년 0.1%포인트 떨어진 후 처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작년 고용률은 66.6%로 전년과 변동이 없었다.

작년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8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4천명 증가했다.

사유를 보면 육아와 재학·수강 등에서는 감소했으나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했다. 취업준비자는 69만3천명으로 전년보다 2만4천명 증가했다.

작년 구직단념자는 52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3천명 증가했다.

빈현준 과장은 "취업자 증가 폭 축소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인구증가 폭 축소, 자동차 등 제조업 부진, 서비스업 구조조정 등이 한꺼번에 겹친 영향"이라며 "다만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청년층에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이 보였다"고 분석했다.

그는 인구증가세 둔화와 관련해 "지난해 인구증가 규모는 22만5천여명으로 전년보다 약 7만3천명 정도 적은 수준"이라며 "고용률을 60% 수준으로 적용한다면 지난해 인구증가세 둔화로 인해 취업자 수가 전년보다 4만명 정도 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작년 12월 15∼64세 고용률은 6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으나 15∼29세 고용률은 42.7%로 1.0%포인트 상승했다. 실업률은 3.4%로 0.1%포인트 상승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이날 공동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작년 취업자 증가 폭이 9만7천명으로 전년보다 대폭 축소한 배경으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전환, 온라인화·무인화 확산 등 인구·산업구조 변화"를 꼽았다.

정부는 지난해 15∼64세 고용률이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청년 고용률이 상승한 것에 주목했으며 상용직 근로자가 증가, 임금 상승 폭 확대,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 등을 근거로 고용의 질 개선 추세가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올해 일자리 15만개 창출을 목표로 제조업 경쟁력 강화, 규제개혁, 적극적 재정 등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