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이어온 남북 문화유산 교류 성과와 과제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남북문화유산 교류사' 발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올해는 한반도에 평화의 바람이 불면서 사실상 명맥이 끊겼던 남북 문화유산 교류가 재개됐다.
2015년 이후 중단된 개성 만월대 남북 공동 발굴조사가 10월 말부터 지난 10일까지 진행됐고, 남북이 따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신청했던 '씨름'은 처음으로 공동 등재됐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분단 이후 진행된 남북 문화유산 교류·협력 사업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자료집 '남북문화유산 교류사'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남북 문화유산 교류는 1990년 3월 일본 연구자가 중심이 돼 결성한 아시아사학회가 연 학술대회가 시발점이 됐다. 이후 남북 간에는 발굴조사와 문화재 정비, 국립중앙박물관 북한 유물 특별전, 방송 교류 등 35개 사업이 이뤄졌다.
자료집은 남북 문화유산 교류 배경과 전개 과정을 간단히 정리한 뒤 고대사와 고대문화, 북한 문화유산 조사, 북한 문화유산 대중 공개, 북한 사찰문화유산 보호 활동, 남북 간 문화재 환수 협력 등 주제별 교류사를 살폈다.
남북 문화유산 교류 성과와 한계, 전망에 관해 쓴 박영정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문화유산 교류에서 아쉬움과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교류 협력의 '완전한 준비'라는 시대적 소임을 충실히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박 위원은 사업의 안정성을 추구할 경험적 자산 확보, 전문인력 관계성 증진, 민관 협치 모델 가능성 확인, 민족 공동자산 보존과 활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국제무대에서의 역할 확대를 성과로 꼽았다.
그러나 남북 교류는 일부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박 위원은 단속적(斷續的) 사업 구조로 인한 불안정한 사업 진행을 첫 번째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는 이어 북한 지역에 있는 문화유산과 고대사·고려사 중심 문화유산 교류, 공동 목표와 청사진 부재를 한계로 설명하고 "문화유산 교류는 정부 차원의 책임 있는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은 향후 남북 관계를 이행기, 평화번영기, 남북연합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걸맞은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소는 13일 중구 한국의집에서 출판 기념회를 열어 발간 과정을 소개하고, 남북 문화유산 교류 현황과 과제를 점검한다.
자료집은 국공립 도서관과 연구기관에 배포하고, 연구소 누리집(www.nrich.go.kr)을 통해 공개한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