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행복도 낮아…삶의 질 정확히 파악해야"

입력 2018-11-28 18:19
"한국인 행복도 낮아…삶의 질 정확히 파악해야"

OECD 세계포럼에서 해외 전문가들 우려

정부 "삶의 질 측정력 높여 정책 전환으로 이어지도록 노력"

(송도=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해외 전문가들이 한국 국민 삶의 질이 소득 수준에 비교해 낮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삶의 질을 정확히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정책으로 이어가는 노력에 힘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28일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제6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포럼 중 '한국인의 삶의 질 측정 : 지표와 정책 활용' 세션에는 이러한 논의가 이어졌다.

캐리어 엑스턴 OECD 통계 데이터국 웰빙과사회발전 점검관리 팀장은 "한국의 웰빙은 노동시장 안정, 기대수명 측면에서는 상당히 높지만 삶의 만족도, 직업관련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사회적 지원, 대기오염 측면에서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왕?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세계 행복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행복 수준은 36개국 중 31위"라며 "인적자원 개발도 훌륭하고 평균 수명도 높지만, 개개인이 평가하는 행복도는 상당히 낮다"고 동의했다.

왕 교수는 특히 한국이 유교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전환하며 노령층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사라지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로버트 루돌프 고려대 국제학부 교수는 "일반적으로 국민 소득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데 한국은 그렇지 않다"며 "한국인 3명 중 2명은 삶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고 느끼는 부분이 그렇다"고 걱정했다.

루돌프 교수는 삶의 질을 정확히 파악하는 점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한국 안에서 웰빙 지표 수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직장을 잃을 두려움·우울감·상실감 등 보다 세부적인 주관 지표도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는 삶의 질 측정력을 높이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펼치는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통계청 최성욱 차장은 "작년까지는 삶의 질을 어떻게 측정하느냐를 고민했다면 올해는 이런 결과를 어떻게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며 "지표를 만드는 데 끝나는 게 아니라 정책 입안자들이 활용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 차장은 앞으로 삶의 질 지표를 더 세분화할 방침을 밝혔다.

내년에는 청소년을, 2020∼2021년은 성년과 노년을 별개로 작성하고 시도별 삶의 질 지표도 작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무총리실 김종문 국장은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 과제 중 58개가 삶의 질과 관련한 과제로, 지표와 정책 연계성을 강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