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도 일반열차도 잇따르는 사고…코레일 안전관리 '비상'
1주일새 열차 사고 6건…사고 후 대처도 미흡
(대전=연합뉴스) 유의주 기자 = 지난주 초 서울역에서 KTX 열차와 포크레인이 충돌한 사고를 시작으로 1주일새 6건의 열차 사고가 발생하면서 국민이 열차 타기를 두려워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사고 발생을 막지 못한 것도 문제지만 지난 20일 오송역 KTX 단전사고처럼 사고 후 승객 안내를 제때 하지 못해 우왕좌왕하면서 승객들을 장시간 공포에 떨게 한 데서 드러나듯, 과연 코레일이 열차 안전운행을 감당할 만한 능력을 갖췄는지조차 의심되는 실정이다.
이낙연 국무총리까지 나서 최근 발생한 KT 통신망 장애와 함께 KTX 단전사고가 "초연결사회의 초 공포를 예고하며 IT 강국 대한민국의 맨 얼굴을 드러냈다"고 질타할 만큼 사태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 그칠 줄 모르는 사고…1주일 새 6건
지난 19일 오전 1시 9분께 서울역으로 진입하던 KTX 열차가 선로 보수 작업 중이던 포크레인의 측면을 들이받아 작업자 3명이 다쳤다.
전날 밤 부산역에서 출발해 서울역으로 향하던 KTX 열차가 서울역 방향 500m 앞 지점에서 포크레인 측면을 들이받은 것이다.
하루 뒤인 20일 오후 5시께 충북 청주 오송역에서는 KTX 열차 전기공급 중단으로 고속철도 경부선과 호남선, 상·하행선 열차 120여대의 운행이 지연되고 서울∼부산 간 열차 운행시간이 최장 8시간까지 걸리는 등 사상 초유의 '대혼잡'이 빚어졌다.
이 사고로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사고 여파로 수많은 승객이 3시간가량 사고 열차에 갇히고, 줄줄이 지연되는 열차로 수만 명의 승객이 밤새 고통을 겪었다.
22일에도 코레일이 운영하는 지하철 분당선 열차가 복정역과 수서역 사이 구간에서 고장으로 멈춰 서면서 승객들이 1시간 넘게 열차에 갇히고 운행도 지연됐다.
23일에는 오후 10시께 서울 청량리역에서 경주로 가던 무궁화호 열차가 발전기 고장으로 원주역에 멈춰 서면서 운행이 1시간가량 지연됐다.
24일에는 오후 3시 광명역과 오후 8시 오송역에서 KTX 열차가 고장 나 운행이 지연되고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 사고 후 우왕좌왕하는 직원들…안전관리 매뉴얼도 의심스러워
오송역 사고에서처럼 사고도 사고지만 코레일 직원들의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나 어설픈 뒤처리는 더 큰 문제로 지적된다.
오송역 인근 고가차도 신설을 위한 전차선 교체공사의 부실 가능성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이 사고 후 코레일은 1시간여 만에 사고 열차에 전기공급을 재개하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사고 과정에서 전기공급장치인 '팬터그래프'까지 고장 나면서 결국 일반 기관차로 견인하기까지 2시간이 더 걸린 것이다.
이 열차에 타고 있던 일부 승객이 폐소공포증을 호소하며 유리창을 망치로 깨뜨리거나 일부는 독자적으로 선로를 걸어 사고 열차에서 탈출했고, 승무원들은 별다른 조치도 취하지 못한 채 기다려달라는 안내방송만 거듭했다.
코레일에 비상상황에 대비한 매뉴얼이 있는지, 승무원들이 안전관리 교육이나 제대로 받았는지 의심되는 상황이 빚어진 것이다.
사고 직후 무전이 폭주하면서 한 때 열차팀장과 관제센터 간 무전도 먹통이었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일반 열차와 달리 KTX는 열차팀장 1명이 18개 객실 승객을 책임져야 하는 만큼 베테랑이 아니면 제대로 일하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라 사무직 직원들이 열차팀장 대체인력으로 투입되고 있는 점도 비상상황 발상 때 대처능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만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된다.
◇ 사고 책임 떠넘기기…비상 안전대책 효과 의문
코레일은 오송역 사고가 역 남쪽에 경부고속선을 횡단하기 위해 충북도에서 시행하는 다락교 고가도로 신설공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고 책임을 떠넘겼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승인을 받아 충북도가 발주한 '다락교 고가도로 신설공사'의 시공업체가 20일 새벽 일반 조가선을 절연 조가선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조가선을 부실 압축해 단전이 일어날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조가선은 전차선을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탱해주는 전선이다.
하지만 충북도는 코레일 측의 책임도 일부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책임 공방이 이어진다.
당초 충북도는 지난해 10월과 지난 4월 한국철도시설공단에 전차선 개량공사를 맡아 달라고 요청했으나 공단 측의 거부로 직접 공사를 발주하게 됐다는 것이다.
사고 당일 코레일 직원들이 공사현장을 확인했으며, 코레일 직원들이 현장확인 후 문제점을 찾아내지 못했거나 부실 공사 여부를 미리 알고도 조처하지 못했다면 코레일 역시 단전사고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코레일은 지난 23일 서울사옥에서 전국 소속장 긴급 안전대책회의를 열어 "최근 발생한 운행 장애 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내달 4일까지 10일간을 비상 안전경영 기간으로 선포하며 비상안전 프로그램을 가동하기로 했다"며 안전대책을 내놓았다.
간부급 전원이 휴일에 근무하고 본사 실·단·본부장들이 지역별 책임 안전활동을 벌이며, 전국 12개 권역별로 운행선 인접 공사를 특별 점검하고 직원 안전교육을 하기로 했다.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전철의 3년간 고장 내역을 분석, 관리하고 부품을 교환하며, 분당선 고장 차량과 같은 시기에 도입된 전동차 36량을 긴급점검하기로 했다.
겨울철에 대비해 시설과 차량 상태를 사전 점검하고, 연말연시 근무 기강 확립을 위해 직원 복무관리도 강화한다고 밝혔다.
오송역 전차선 사고를 계기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외부 지자체 등이 시행해 온 모든 운행선 인접 공사를 코레일 직접발주로 이관해 일원화된 안전체제가 마련되도록 국토교통부와 함께 안전제도 개선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대책발표 이후에도 3건의 열차 사고가 추가로 발생하면서 대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생긴다.
이낙연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KTX가 멈춰 서거나 통신망에 고장이 났는데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준비돼 있지 않았다는 것이 어쩌면 더 큰 문제"라며 "철도·통신·전력·가스 등 사회기반시설의 비상상황 관리매뉴얼을 재정리하고, 인력배치와 시설·장비 등을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코레일 3만여 직원들이 끊임없는 비상상황 훈련과 안전점검을 지속해야 철도가 다시 안전한 '국민의 발'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다수 철도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ye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