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학생독립운동 알리기 빈약…일제 탄압 수천명·서훈 212명
(광주=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이 올해 처음으로 정부 행사로 격상되는 등 위상이 높아졌지만, 유공자 찾기 등 선양사업은 소홀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국가보훈처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사업회 등에 따르면 19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을 계기로 전국으로 확산한 독립운동은 194개 학교 5만4천여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이 가운데 1천600여명이 일본 검·경에 붙잡혀 170여명이 실형을 선고받고 옥살이를 했다.
그뿐만 아니라 광주사범학교는 폐교됐고, 퇴학 582명, 무기정학 2천330명, 강제 전학 298명 등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전국 수천명의 학생들이 일제의 탄압을 받았다.
이 가운데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사람은 212명에 불과하다.
3·1운동, 6·10만세 운동과 함께 일제강점기 3대 독립운동으로 꼽히는 것에 비교하면 턱없이 적은 숫자다.
3·1운동을 포함해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사람은 모두 1만4천여명에 이른다.
이는 정부가 지금까지 다른 독립운동보다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한 유공자들을 발굴하는 데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계형 국민대 특임교수는 연구 자료에서 "지금까지 독립운동가 선정 기준은 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삼아왔다"며 "학생이라는 이유로 학생독립운동과 관련한 자료 발굴을 소홀히 하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탓"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3·1운동 당시에만 해도 학생들은 기성 민족운동가의 지도를 받아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전부였다"며 "광주 학생운동에서는 주도적으로 시위운동을 해 독립운동의 주체로 발돋움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광주학생운동을 민족운동의 중심에 세우기 위해선 공훈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특히 퇴학생과 여성 참여자의 명단 등을 확인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사업회 김환호 상임이사는 "당시 학생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유공자와 후손들은 그동안 정부와 국민들의 무관심 속에서 어렵게 살아왔다"며 "아직 서훈을 받지 못한 유공자들이 서훈을 받을 수 있도록 행정적인 업무 등을 계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