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 리터 저유소가 풍등에 뚫려?…방화 시스템에 허점 없나

입력 2018-10-08 22:03
수정 2018-10-08 22:07
수천만 리터 저유소가 풍등에 뚫려?…방화 시스템에 허점 없나

"풍등 화재 불가능 하지 않아"…가연물 '잔디' 방치 지적도



(고양=연합뉴스) 최재훈 기자 = 수천만 리터의 기름이 저장된 시설이 작은 풍등 하나에 뚫려 대형 화재로 이어졌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저유시설 화재 예방 시스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풍등이 저유시설에 닿아 불을 낼 가능성은 극히 낮지만, 우연이 겹치면 불가능한 이야기는 아니라고 말한다. 또, 시설에 풍등 같은 물체가 날아들어 온다면 이를 막을 장치는 사실상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8일 경찰에 따르면 스리랑카 국적 근로자 A(27)씨는 화재가 발생한 지난 7일 오전 저유소 인근 강매터널 공사장에서 풍등을 날렸다.

풍등은 등 안에 고체 연료로 불을 붙여 뜨거운 공기를 이용해 하늘로 날리는 소형 열기구다.

A씨가 날린 풍등은 바람을 타고 약 300m를 날아가 대한송유관공사 고양 저유시설 잔디밭에 떨어졌다. 불이 잔디밭에 옮겨붙으며 불똥이 튀었고 이 불똥이 휘발유 탱크 유증 환기구까지 튀며 화재로 이어졌다는 것이 경찰의 설명이다.

탱크 내부에 유증기가 폭발하는 등 화재가 발생하면 유류화재진화용 폼액을 분사하는 설비가 작동한다. 비눗방울 같은 포말을 쏴 순간적으로 산소를 차단해 불을 끄는 방식이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폭발 여파로 유류 탱크의 덮개 역할을 하는 콘루프가 솟구쳤다가 떨어지며 폼액 분사 장비와 충돌했다.

결국 폼액 소화 장비 2개 중 하나는 제구실을 하지 못했고 걷잡을 수 없이 커진 불은 17시간이나 지난 뒤에 꺼졌다.

이에 대해 과거 고양 저유소 점검을 한 적이 있다는 이용재 경민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지만 우연에 우연이 겹치면 불가능하지 않다"며 "사실 현재 상황에서 화재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설득력 있는 얘기"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휘발유를 대량으로 보관하는 탱크에는 유증기가 발생하며 유증기 압력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지 못하면 폭발 위험이 있다"며 "이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탱크에는 유증기 환기구가 있는데, 만약 이곳에 불똥이 튄다면 삽시간에 큰 폭발이 일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송유관공사의 여러 방화 시스템도 이번에 허점을 보였다는 지적이다.

대량의 기름을 다루는 고양 송유관공사 저유소는 북서쪽이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에 있다. 외부에서는 내부가 잘 보이지도 않는다. 관계자 외 인원 출입도 엄격히 통제해 인근에 사는 주민들도 내부에 어떤 시설이 있는지 알 수 없을 정도다.



기름을 넣고 빼는 작업은 엄격한 안전 수칙하에 진행한다. 또, 유류탱크 내부에는 압력이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있어 만일의 사태를 예방한다.

하지만 바람을 타고 날아오는 풍등에 대해서는 사실상 방책이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 측이 최초로 화재를 인지한 것은 10시 55분께 당직 직원이 폭발음을 들었을 때였다. 이미 불똥이 튀어 폭발이 일어난 때로, 풍등이 날아와 잔디밭에 불이 붙는 과정은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

화재 진압 이후 원인에 대한 질문에도 "당시 기름 입 출하 같은 외부 활동이 전혀 없었고, 내부에도 스파크가 일어날 요소가 없어 원인이 전혀 예상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풍등에 의한 화재 가능성은 상상조차 못한 것이다.

또, 떨어진 풍등의 불꽃이 기름 탱크 주변 잔디에 붙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탱크 주변 가연물 관리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세진 우송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설사 풍등이 시설 내부로 들어갔다 하더라도 탱크 주변에 잔디와 같은 불이 붙을만한 가연물은 없었어야 하는 것이 맞다"며 "불똥이 유증 환기구로 튀었다 하더라도 불길이 내부로 타들어가는 것을 막는 설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jhch79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