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북부 '대재앙' 일단 막았지만…러·터키 세부합의 의문
각국 "무력 대신 외교가 승리" 환영…시리아·반군, 같은 합의 정반대 해석
"공세 일시적 연기일 뿐" 전망도…공격중단 대가로 러 챙긴 실리에도 의문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열흘 만에 다시 마주한 러시아·터키 정상의 담판 결과로 시리아 반군의 마지막 거점에서 러시아·시리아군의 전면 공세가 무기한 연기된 것은 '대재앙'을 일단 막아낸 '외교의 승리'라 부를 만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17일(모스크바 현지시간) 러시아 소치에서 만나 시리아 북서부 이들립주에 완충지대 성격의 '비무장지대' 설치에 합의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정상회담 후 '이들립에서 군사작전이 없다는 뜻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번 합의에 대해 시리아정부, '자유시리아군'(FSA) 계열의 '온건' 반군, 국외 시리아 반정부 세력, 이란정부 등 시리아 사태의 당사자와 개입 세력 모두 300만명이 사는 이들립에서 '최악'을 피하고 외교적 타협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한목소리로 환영했다.
발표된 내용만으로 본다면 터키가 러시아를 끈질기게 설득, 임박한 전면 공세를 막는 데 성공한 모양새다.
그러나 쌍방 합의의 세부적인 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실제 상황에서 합의를 어떤 모습으로 이행할지, 공격 중단이 유지되는 조건이 무엇인지, 터키가 러시아에 무엇을 양보했는지 등 합의에 관한 여러 의문을 낳았다.
러시아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 정권이 전면 공세를 일단 연기한 대가로 어떤 실리를 얻었는지도 의문스러운 부분이다.
당장 같은 합의를 놓고도 아사드 정권과 반군이 정반대 해석을 내놨다.
18일 시리아 친정부 신문 '알와탄'은 러시아·터키의 합의에 따라 시리아 국가기관이 이들립으로 복귀하게 된다고 익명의 러시아 외교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신문은 무장조직이 중화기를 모두 넘기고 민간인 거주 지역에서 퇴각한 후 이들립에서 시리아 공권력이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에 이들립의 FSA 지휘관은 "이번 합의로 이들립이 FSA 통제 아래 남을 것이며, 시리아 전역을 장악하려던 아사드의 꿈은 소멸했다"고 해석했다.
옛 알카에다 시리아지부에 뿌리를 둔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 등 급진 조직이 비무장지대에서 퇴각을 거부하거나 공격을 감행한다면 러시아·시리아군은 급진 반군을 분리해 내지 못한 터키에 책임을 돌리고 다시 공세에 나설 수 있다.
지난해 이들립은 휴전이 시행되는 '긴장완화지대'로 지정됐으나, 러시아·시리아군은 테러조직을 소탕한다는 명분으로 수시로 이들립을 공격했다.
따라서 이날 합의는 러시아가 한배를 탄 터키의 체면을 살려주기 위해 공세를 일시적으로 연기한 것에 불과하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된다.
불과 열흘 전 열린 러시아·이란·터키 정상회의에서는 푸틴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테러조직 소탕이 우선이라며 에르도안 대통령의 휴전 제안을 거부했다.
전 레바논 주재 시리아대사 알리 압둘 카림은 레바논 알자디드 방송과 한 인터뷰에서 "비무장지대 설치 합의는, 터키가 급진 조직을 걸러내기로 한 조건을 현실에서 이행할 수 있는지 보는 시험대"라고 분석했다.
시리아 정책에서 러시아와 터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부분, 특히 미군과 관련한 모종의 합의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추측할 수 있다.
시리아 주둔 미군은 북동부에서 반(半)자치구역을 형성한 쿠르드 세력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다.
러시아·시리아는 미군이 시리아 영토에 '초대받지 않은 외국 군대'라며 줄곧 철수를 요구했으며, 터키는 미군의 쿠르드 지원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도 "터키에 최대 위협은 이들립보다는 '인민수비대'(YPG, 쿠르드 민병대)"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