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 찌꺼기서 스마트폰 핵심 원료 '피치' 뽑아낸다

입력 2018-09-04 10:32
수정 2018-09-04 10:40
석유 찌꺼기서 스마트폰 핵심 원료 '피치' 뽑아낸다

한국화학연구원, 잔사유서 인조흑연 원료 제조…민간기업에 기술 이전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활용가치 높은 인조흑연 원료를 저급 석유에서 뽑아내는 기술을 확보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탄소산업선도연구단 임지선 박사 연구팀이 석유 잔사유로부터 피치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해 동양환경에 기술이전 했다고 4일 밝혔다.

인조흑연은 우수한 전기·열 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서 스마트폰, 텔레비전, 컴퓨터 이차전지 음극재나 방열부품 등에 쓰인다.

음극재는 양극재, 분리막, 전해질과 함께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4대 소재 중 하나다.

우리나라에선 4대 소재 중 유일하게 음극재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앞으론 전기자동차 성장세와 함께 인조흑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 것으로 전망된다.

인조흑연을 만들기 위해서는 '피치'라는 원료가 필요하다.

피치는 원유에서 휘발유와 경유 등을 정제한 뒤에 남은 부산물(석유계 잔사유)로부터 만든다.

석유화학 공정상 피치 제조기술은 지금까지 미국, 일본, 독일 등에만 있었다.



연구팀은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피치 제조기술을 구현했다.

피치를 만들려면 400∼600도의 열과 함께 전기가 필요하다.

공정 단가를 낮추기 위해 연구팀은 기존 열과 전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 맞춤형 기술을 구현했다.

기업이 이미 다른 공정 목적으로 보유한 인프라가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술이전 기업이 충남 서산시 대산석유화학산업단지에 있어 부산물을 바로 가져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공정은 찌꺼기 원료로부터 최종 피치가 생산되는 비율(수율)이 높다.

게다가 피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임지선 단장은 "현재 연구 중인 인조흑연 제조기술과 접목하면 인조흑연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자원 확보 지평을 넓힐 뿐만 아니라 수입 대체로 인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크게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