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다수 출시 20년…"제주 환경 위한 이익 사회환원 확대"

입력 2018-08-28 16:11
삼다수 출시 20년…"제주 환경 위한 이익 사회환원 확대"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생수 브랜드 시장 점유율 1위인 제주삼다수가 올해 출시 20주년을 맞아 앞으로 제주도의 환경을 위한 사회환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28일 밝혔다.

오경수 제주특별시자치도개발공사 사장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에서 열린 제주삼다수 출시 20주년 기념 콘퍼런스에서 "지난해까지 제주삼다수 사업으로 발생한 이익금 2천100억원을 지역사회에 환원했다"며 "앞으로 제주도의 환경과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환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개발공사는 한정된 자원인 제주 지하수 보전을 위해 관련 조사 연구와 산업 연구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행사는 다양한 전문가가 연단에 올라 제주 지하수와 관련한 발표를 진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지영흔 제주대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교수는 '제주 지하수의 생리활성효과'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제주삼다수를 장기 음용 시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그는 면역 기관에서 제주삼다수의 면역 활성 생체 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제주개발공사 품질연구본부장 고기원 박사는 '제주도 지하수의 부존특성과 지속 이용성'을 주제로 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젊은 화산' 제주도는 지하수 함양률이 45%로 높고, 제주도 전체가 현무암질 용암과 스코리아(송이)층 지질 구조로 '거대한 천연 정수기'다. 제주도 구성 암석의 대부분을 차지한 현무암류에는 당뇨·고지혈증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바나듐'이 최대 50ppb 함유돼 있고, 규소도 30∼40㎎/ℓ가 들어 있다.

고 박사는 "1998년 제주삼다수를 처음 출시할 때부터 지금까지 1시간 간격으로 지하수위와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변화 없이 안정적 상태를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윤성택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지난 20여 년간 쌓인 지하수 수질 자료를 활용해 제주 지하수의 수질을 평가한 결과 제주 지하수는 단순 알칼리 유형으로, 바나듐과 용존 실리카의 함량이 높다고 설명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