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시단 조명한 비평집 '용등시화' 번역 출간
저명한 친일파 학자 관료 정만조 저작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시는 기상이 좋아야 한다. 시가 공교롭지 않아도 되지만 기상은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기상이 좋고 나쁨은 지은 이의 길흉과 관련되지 않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문과에 급제해 요직을 거쳤으나 일제강점기에 한학계 거물로 활동해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된 무정(茂亭) 정만조(1858∼1936)는 '용등시화'(榕燈詩話)에서 시에는 기상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용등시화는 정만조가 을미사변에 연루돼 유배된 전남 진도에서 1906년 무렵 완성한 비평집. 책 제목은 유배지 호롱불 밑에서 쓴 시·시인 평론서를 의미한다. 당대 주요 작가는 물론 흥선대원군, 김홍집, 유길준 같은 정계 인사에 관한 생각을 두루 담았다.
지난해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문화면에 1938년 9∼12월 연재된 용등시화를 발굴해 학계에 소개한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가 김보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과 함께 이 시화집을 번역·출간했다.
신문에 62차례 실린 글 98칙(則)에 고 이가원 연세대 교수가 쓴 '옥류산장시화'(玉溜山莊詩話)에 인용된 글 1칙을 더해 99칙을 우리말로 옮겼다.
안 교수는 용등시화가 고종 시대 시단(詩壇)을 전체적으로 조망한 거의 유일한 사료라고 강조하면서 저자인 무정도 조선 말기 시단의 주축 가운데 한 명이었다고 소개한다.
서울 남산 북쪽 회현방(會賢坊)을 중심으로 시를 창작한 남사(南社)에 얽힌 다양한 일화를 수록한 점도 용등시화 특징이다.
안 교수는 "간접 견문이나 독서가 아니라 직접 체험한 시단 실상과 교유 양상을 정리하고, 오늘날 존재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지방 문인의 존재와 작품을 크게 부각한 사실을 가치로 꼽을 만하다"고 평가한다.
정만조는 조선에서 시문학이 18세기 이후 쇠퇴기에 접어들었다는 시각을 거부하면서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반에 활약한 한시사가(漢詩四家, 이덕무·박제가·유득공·이서구)와 자하 신위(1769∼1847)가 이전과는 다른 시풍, 곧 당시풍에서 송시풍의 흐름을 열었다고 분석했다.
안 교수는 이에 대해 "무정의 참신한 견해이면서 그가 속한 시대 동인과 공유하는 시각"이라며 "18∼19세기 한문학사와 한시사 구도를 균형 있는 시각으로 파악한 저술"이라고 주장했다.
성균관대 출판부. 324쪽. 1만9천원.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