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우리동네] 백두대간 허리, 하늘 아래 첫 동네 '안반데기 마을'

입력 2018-07-07 11:00
수정 2018-07-10 16:32
[쉿! 우리동네] 백두대간 허리, 하늘 아래 첫 동네 '안반데기 마을'

1965년 화전민이 개간…답답한 가슴 뻥 뚫리는 '국내 최대 고랭지 채소단지'

관광지만큼 아름다운 풍경 일품…남쪽에는 모정으로 쌓은 3천 개 돌탑 장관



(강릉=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한눈에 담을 수 없이 드넓은 채소밭.

국내 배추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해 서민 밥상을 책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곳.

하늘 아래 첫 동네, 강릉시 왕산면 대기4리 '안반데기' 마을이다.

해발 1천100m 태백산맥 험준한 산 능선의 안반데기는 그야말로 '산이 배추밭이고, 배추밭이 곧 산이다'.

안반데기라는 이름은 떡메로 반죽을 내리칠 때 쓰는 오목하고 넓은 통나무 받침판 '안반'에 평평한 땅을 뜻하는 우리 말인 '덕'을 붙이고, 여기에 영화 웰컴 투 동막골로 친숙해진 강릉사투리가 더해져 만들어졌다.

안반데기는 고루포기산(1천238m)과 옥녀봉(1천146m)을 잇는 해발 1천100m 능선에 있다.

안반데기의 행정지명인 대기리는 큰 터가 자리하고 있어 '한터', '큰터', '대기'라 불렸다고 한다.

조선 후기 인문지리지인 '여지도서'에도 '대기'가 기록돼있는데, 이때의 대기리는 구정면 지역이었으며 1916년 20여 개의 마을을 합친 후 대기리라 칭하고 상구정면에 편입, 상구정면이 왕산면으로 개칭되면서 '왕산면 대기리'가 됐다.



대기리는 처음엔 3개 리(里)로 구성됐으나 1965년 화전민들이 농지를 개간해 감자, 채소를 심고 마을을 형성하면서 4개 리가 됐다.

그렇게 대기4리는 안반데기 마을이 됐다.

안반데기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기계를 이용한 농사가 불가능해 농부의 힘과 노력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전형적인 농업지역이다.

화전민들은 수십m 아래로 굴러떨어질 수도 있는 가파른 비탈에서 곡괭이와 삽, 소를 이용해 밭을 일구어냈다.

1995년에는 대를 이어 밭을 갈아 낸 28가구 안반데기 주민들이 땅을 정식으로 매입하면서 실질적인 소유주가 됐다.

척박했던 땅은 축구장보다 280배나 큰 200만㎡에 이르는 풍요로운 밭이 됐다.

안반데기 배추는 최고등급으로 인정받으며 국내 배추시장의 48%를 차지해 밥상물가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주민들은 매년 5월 마을을 수호하는 성황지신과 척박한 땅에서 풍요로운 수확을 염원하는 토지지신, 마을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안반데기만의 지신인 여력지신에게 성황제를 올린다.



안반데기는 고지대 특성상 봄은 늦게 오고 겨울은 일찍 찾아온다.

능선을 끼고 넓게 펼쳐진 대지에는 계절마다 독특한 풍경이 펼쳐진다.

봄에는 호밀초원, 여름엔 감자 꽃과 고랭지 채소, 가을에는 산야의 단풍, 그리고 겨울에는 하얀 설경이 감탄을 자아낸다.

농사를 위한 경작을 하고 있지만 그 모습은 하나의 관광지만큼이나 아름답고 경이롭다.

겨울이면 일부 주민은 많은 눈과 혹한으로 생활이 불편해 이곳의 집을 떠나 강릉 시내에서 생활하기도 한다.

예전 어르신들은 대기리에 산다고 하면 '산골하고도 산골에 산다'고 했을 정도로 오지 산골 마을로 유명했다.

하지만 415번, 410번 지방도와 35번 국도 등 연결도로망 확충으로 강릉, 정선, 동해, 태백, 평창으로의 교통이 편리해지며 산골 마을은 옛말이 됐다.

이제는 사계절 많은 이들이 찾는 '힐링의 고장'이다.

계절따라 피는 각종 고산식물과 다양한 야생화, 자연 그대로 마실 수 있는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있는 울창한 산세, 끝이 보이지 않는 넓은 채소밭은 상념과 번민을 깨끗이 사라지게 한다.

사진 좀 찍는 사람치고 안반데기를 찾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다.



안반데기에는 농사뿐 아니라 관광을 즐길 수 있는 숙박시설과 부대시설도 있다.

강릉시는 2010년부터 7억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화전민들의 개척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에 나섰다.

화전민의 고단한 삶과 애환이 담긴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안반데기 사료전시관을 짓고 화전민이 생활하던 귀틀집을 복원한 운유촌을 만들었다.

특히 멍에전망대는 주변 절경은 물론 강릉시와 동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여 일출명소로도 손색없다.

자연이 연출하는 풍경도 아름답지만 척방한 땅을 일궈낸 화전민의 땀과 노력을 생각하면 절로 경건해진다.

한낱 드넓은 배추밭으로만 여겨졌던 안반데기의 풍경이 노동의 신성함으로 다가온다.

안반데기 마을 남쪽에는 신라 때의 설총과 조선조 때의 율곡 선생이 공부한 노추산과 사달산이 있는데, 특히 노추산은 수능과 취업 시즌이면 자녀의 합격을 기원하는 부모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애틋한 사연을 간직한 '모정(母情)탑'이 있기 때문이다.



모정탑은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26년간 고(故) 차옥순씨가 쌓은 3천 개의 돌탑이다.

백두대간 첩첩산중에 쌓은 이 돌탑은 대기리에서 노추산 계곡을 따라 900m 정도 들어가면 나온다.

서울에서 강릉으로 시집온 차씨는 율곡 이이의 정기가 살아 있는 노추산 계곡에 움막을 지어놓고 1986년부터 무려 26년 동안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정성을 다해 탑을 완성했다.

탑을 쌓게 된 계기는 현몽(現夢)이었다.

4남매 가운데 아들 둘을 잃고 남편은 정신질환을 앓는 등 집안에 우환이 끊이지 않던 어느 날 꿈속에 산신령이 나타났다.

계곡에 돌탑 3천 개를 쌓으면 집안에 우환이 없어진다는 꿈을 꾼 차씨는 탑을 쌓기 시작했다.

여자의 몸으로 혼자 탑을 쌓았다는 게 눈으로 보고도 믿기지 않을 정도로 탑은 오랜 세월에도 흔들림 없이 신비한 기운을 간직하고 있다.

입구는 아름드리 소나무가 울창하고 가을이면 울긋불긋 단풍이 수많은 탑과 어울려 장관이다.



수를 헤아릴 수 없는 돌 하나하나에 스며든 정성과 그의 사랑 만큼이나 진하게 물든 단풍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풍광을 연출한다.

모정탑길은 2018 평창올림픽 개최도시 평창·강릉·정선을 잇는 9개 트레킹 코스 '올림픽 아리바우길'에 포함되기도 했다.

그냥 산골 마을이라 하기엔 푸름이 눈부시게 아름다운 백두대간의 허리 안반데기에서 자연과 우리네 먹거리를 귀히 여기는 사람들이 살아간다.

conany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