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이번주 러시아行…'포스트 북미회담'에 본격 시동

입력 2018-06-17 11:55
文대통령, 이번주 러시아行…'포스트 북미회담'에 본격 시동

북미정상회담 성과 토대로 '한반도 비핵화' 조력 당부할 듯

남북러 3각 협력사업 필요성 공감…신북방정책 구상 '채찍질'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21일부터 2박 3일간의 일정으로 러시아를 국빈방문하면서 '포스트 북미정상회담' 조치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거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방문은 1999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 이후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19년 만으로, 취임 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는 세 번째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물론, 평화체제 구축을 통해 동북아 냉전체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협력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의 이번 러시아 방문은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열리는 첫 정상외교 무대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 회담 당사국으로서 중국과 함께 여전히 북한에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이 작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비핵화 과정에서 푸틴 대통령의 조력을 끌어내는 것은 문 대통령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다.



푸틴 대통령은 이미 러시아 월드컵 개막식 참석차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면담한 자리에서 북미정상회담의 결과를 높이 평가하는 동시에 환영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푸틴 대통령이 원칙적으로 북미정상회담의 핵심 성과에 지지의 뜻을 나타낸 것은 향후 비핵화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의 역할을 끌어내야 하는 문 대통령에게 긍정적인 대목으로 해석된다.

북한과 미국이 비핵화와 그에 상응하는 체제보장을 약속한 만큼 러시아를 비롯한 주변국들에 '감시자'의 역할이 기대되는 만큼 문 대통령 역시 푸틴 대통령에게 이와 관련한 협조를 요청할 확률이 높다.

문 대통령은 나아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바탕으로 동북아의 난제인 냉전구도 극복을 위한 협력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

북미 데탕트 국면에서 미국과 중국이 '관세 폭탄'을 주고받는 등 '무역전쟁'이 현실화함에 따라 중러의 밀착 국면이 뚜렷해지고 있다.

중러가 합작해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면서 북한에 '입김'을 넣고자 한다면 '한미일 대 북중러'의 미묘한 긴장 관계가 대두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 때문에 문 대통령으로서는 동북아 평화를 위한 다자 안보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냉전구도 극복에도 공을 들일 전망이다.

이처럼 비핵화 이슈를 고리로 냉전체제 극복 등에 한러 정상이 머리를 맞댄다면 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과 '한반도 신경제지도' 등 경제협력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러시아와의 경협 문제와 비핵화 문제는 서로 맞물린 이슈"라면서 "한반도 비핵화 논의가 순풍을 탄 만큼 이에 대비한 실질적 협력 방안도 논의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 참석차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한러정상회담에서 러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신북방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가스와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 등 '9개의 다리'를 놓는 '나인브릿지 전략'을 소개하면서 동시다발적 협력을 제안하기도 했다.

북미정상회담에서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 평화 무드가 무르익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은 양국 간에 논의돼 온 경제협력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크다.

한러 간 경협에 필요한 분위기는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이뤄진 한러 정상통화에서 남북러 3각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을 때보다 훨씬 더 무르익은 상태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 점에서 이번 방문에서 신북방정책에 속도를 붙인다면 금강산이나 원선·단천, 청진·나선을 남북이 공동 개발하고 동해안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경제권 벨트 구축 같은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kj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