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하방리스크 더 많아…하반기 경기회복 지속 불투명"
"올 수출, 반도체 빼면 0.4% 증가…고용 개선 불투명"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경기 상승 요인보다 하방 리스크가 더 많아 하반기 경기 회복세가 지속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내수, 수출, 고용 불확실성이 많고 대외여건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경제연구원 홍준표 연구위원, 정민 연구위원은 27일 '2018년 하반기 경제 이슈' 보고서에서 "최근 경기 흐름에 불확실성이 내재해 있고 향후에는 경기 상승 모멘텀보다 하강 리스크가 더 많아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하반기 경기가 침체기로 진입한 것 아니냐는 논쟁이 빚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수요(소득) 주도 경제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야 할 시점임을 고려하면 이 같은 경기 논란이 거세질 수 있다고 봤다.
연구팀은 "고용의 심각한 둔화, 비관적으로 판단하는 경제 주체들의 증가, 경기 수축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등을 고려하면 경기 회복세가 앞으로 지속할지 장담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최근 경제 성장세를 뒷받침해온 민간소비 증가세가 꺾일 수 있고 일부 업종에 의존한 수출의 취약성이 드러날 수 있다는 점도 하반기 경기 불안을 키우는 요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작년 4분기 이후 둔화세로 돌아섰다. 신규 취업자 수가 급감하며 가계소득이 앞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가계부채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시장 금리 인상에 따라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하는 점도 소비를 짓누를 수 있는 요인이다.
수출은 지나치게 반도체에 편중된 점이 '아킬레스건'이다.
전체 수출에서 반도체 비중은 2016년 12.6%에서 올해 1∼4월 20.1%로 상승했다. 반면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 증가율은 올해 1∼4월 전년 동기 대비 0.4%에 그쳤다.
미·중 무역갈등, 보호무역주의 확산 가능성으로 수출 경기도 우호적이지만은 않은 것으로 진단된다.
고용 개선도 쉽지 않은 것으로 전망됐다.
취업자 증가는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 연속 10만 명대 초반 수준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정부가 청년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 등 정책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 건설 경기 둔화 등 고용 시장 악화 요인도 만만치 않다.
나라 밖으로 눈을 돌리면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우려 때문에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이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국제유가 상승, 미국 경제 성장세 등에 힘입어 올해 미국이 정책 금리를 4차례 올릴 것이란 시장 전문가들의 응답률도 최근 40%를 넘어섰다.
국제유가 상승세는 지속할 전망이다.
최근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가 계속되고 글로벌 경기 회복세 등으로 초과 수요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해서다.
여기에 글로벌 통화정책 긴축,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아르헨티나, 터키 등 신흥국발 위기감이 고조되며 글로벌 경기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기도 하다.
연구팀은 "정부는 경기 판단에 얽매이기보다 경기 활성화 정책, 경제 구조 개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며 "적극적 고용 시장 정책 확대, 금리 인상 충격 완화 등으로 가계 소비 위축을 막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수출 수요가 늘어나는 신흥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고용·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은 신성장 업종을 육성해야 할 것"이라며 "국제유가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