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사각지대 결혼이민자 812명 기초수급권 인정해야"

입력 2018-05-24 14:00
감사원 "사각지대 결혼이민자 812명 기초수급권 인정해야"

"가정폭력 이주여성, 불법체류자라도 쉼터입소 허용해야"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감사원은 '사각지대'에 있는 결혼이민자 812명에 대해 내국인과 차별 없이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24일 밝혔다.

아울러 가정폭력을 당하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해서는 불법체류자라도 쉼터입소를 허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감사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다문화가족정책 추진실태' 감사보고서를 공개했다.



2016년 11월 기준 다문화가족은 31만6천여가구(96만3천여명)이고, 내국인과 결혼이민자로 이뤄진 가구가 36.6%로 가장 많다.

감사원은 결혼이민자가 혼인으로 내국인과 생계·주거를 같이하므로 내국인과 유사한 지위에 있다며 동일한 '수급기준'을 적용해 기초생활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결혼이민자는 내국인의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자 선정기준 충족뿐만 아니라 임신 중이거나 미성년자녀 양육, 배우자의 직계존속과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경우에만 수급자로 인정해준다.

따라서 결혼이민자가 불임부부 등 부부로만 구성된 2인 가족, 성년자녀와 생계·주거를 같이하는 경우는 수급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사별한 배우자의 태아를 임신 중이면 수급권을 인정하지만, 이혼한 배우자의 태아를 임신 중이면 수급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감사원이 2016년 말 기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등록된 기초생활수급가구 중 결혼이민자가족 3천99가구의 급여지원 실태를 분석한 결과 812가구(26.2%)는 한국인 배우자만 수급권이 인정되고, 결혼이민자(812명)은 수급권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감사원은 결혼이민자 812명에게 생계·주거·의료급여를 지원하면 연간 44억여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한다.

정부가 2014년 4월부터 국제결혼비자 발급 심사요건을 강화하면서 2인 가구 기준 연간소득이 일정 기준(2016년 1천660만원)을 넘도록 한 결과 이때부터 기초생활수급자의 국제결혼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감사원은 보건복지부 장관, 여성가족부 장관에게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의 각 급여선정기준을 충족하면서도 수급권자가 되지 못하는 부부 2인 가구 등의 결혼이민자에 대해 기초생활을 보장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아울러 감사원은 가정폭력을 당하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시설입소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가정폭력방지법 등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자가 입소를 희망하면 쉼터의 입소대상으로 되어 있는 등 불법체류 이주여성에 대한 입소를 제한하는 규정이 없다.

하지만 여가부는 '폭력피해 이주여성 지원사업 운영지침'을 통해 쉼터 입소대상을 합법 체류자로 제한, 불법체류 이주여성이 입소대상에서 제외돼 인권침해 우려가 있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2016년 말 기준 결혼이민자 12만4천여명 가운데 불법체류자는 6천441명이다.

가령, 작년 3월 필리핀 출신 이주여성이 가정폭력으로 자녀와 함께 쉼터입소를 원했지만, 불법체류자 신분이어서 쉼터에 입소하지 못하고 교회가 운영하는 미인가시설로 인계됐다.

감사원은 여가부 장관에게 "가정폭력 피해를 당한 결혼이주여성이 외국인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긴급지원 및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개정하라"고 통보했다.



감사원은 해외에서 이뤄지는 불법적인 국제결혼중개행위를 심사·통보하는 세부기준이 미비해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위법사항에 대한 관리·감독이 미흡한 점도 지적했다.

각국 재외공관이 2014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여가부에 결혼중개업법 위반사항을 통보한 실적을 보면 국제결혼이민관을 파견했던 주베트남 대사관이 121건을 통보했고, 주 캄보디아대사관 1건을 제외하고는 실적이 전무하다.

감사원은 여가부 장관에게 "외교부 등과 협의해 국제결혼이민관이 파견되지 않은 재외공관에서 결혼중개업법 위반 여부를 확인·통보하도록 관련 절차 등 세부기준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이밖에 감사원은 ▲ 여가부·법무부가 한국어교육 과정을 통합·연계하지 않아 중복수강 등 비효율 발생 ▲ 한국어교육 예산을 지역별 수요와 관계없이 균등배분 ▲ 방문교육서비스를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지원하지 않아 형평성 저하 등의 문제를 지적했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