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기업 근로자 절반 '호봉급'…생산직은 80% 넘어

입력 2018-05-10 13:25
수정 2018-05-10 13:59
주요 대기업 근로자 절반 '호봉급'…생산직은 80% 넘어



한경연 "고용유지 부담…성과 중심 보상 확대해야"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매출액 상위 600개 대기업 근로자들의 임금체계는 근속연수가 기준이 되는 '호봉급'이 절반 이상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0일 발표한 '2018년 주요 대기업 임금체계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600대·300인 이상 주요 대기업(170개사 응답)에서 기본급에 대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 수 비중이 51.2%로 가장 컸다.

이어 직능급(업무 수행능력 기준) 적용 근로자 36.2%, 직무급(직무 성격 및 난이도 기준) 적용 근로자 4.4% 순으로 집계됐다.

직종별 기본급 유형을 보면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의 경우 호봉급 비중이 각각 84.7%, 50.0%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사무직(61.2%)과 연구직(54.0%)에서는 직능급을 적용받는 근로자가 가장 많았다.



응답 기업 근로자(39만8천915명) 중 26.9%(10만7천124명)는 평사원급에서 관리자급으로 승진하면 임금체계를 전과 달리 적용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평사원급(7만4천338명)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받았고, 관리자급(3만2천786명)은 주로 직능급(71.4%)을 적용받았으며 호봉제인 경우는 없었다.

한경연 관계자는 "호봉제는 생산성과 관련 없이 임금이 매년 오르는 문제가 있다"며 "기업들이 평사원급에는 호봉제를 적용하면서 권한과 책임이 큰 관리자급에는 직능급 등을 적용하는 것은 능력과 성과에 대해 보상해 생산성을 높이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응답 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9개사였다.

이들 기업은 호봉급에 따른 문제점으로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42.9%), 근로자의 성과 관리 어려움(36.1%),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 어려움(11.8%) 등을 꼽았다.

그럼에도 호봉급 체제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39.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 등을 언급했다.

응답 기업들은 현행 임금체계에서 성과가 달라도 보상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문제(50.6%)가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올해 임금체계와 관련해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 확대(58.8%)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금체계 개편 방향은 사무직과 연구직의 경우 직무급(각 54.1%),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은 직능급(각 39.4%, 42.4%)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경연 관계자는 "기업들이 정부의 공공부문 임금체계의 선도적 개편(34.1%)이 중요하다고 응답했다"면서 "호봉제 중심 체계를 직무급 중심으로 바꾸는 내용이 포함된 정부의 공공부문 표준임금 모델안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YNAPHOTO path='AKR20180510099100003_04_i.jpg' id='AKR20180510099100003_0901' title='' caption=''/>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