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번째 국립묘지' 대구 신암선열공원 새로 단장해 개원(종합)
대구·경북 출신 독립유공자 52명 안장…관리권 정부 이관
이 총리 "파악 안된 애국열사 끝까지 찾아 합당한 예우 하겠다"
(대구=연합뉴스) 이덕기 기자 = 국내 7번째 국립묘지로 승격된 대구 신암선열공원이 1일 새롭게 단장하고 문을 열었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오후 대구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국내 최대 독립유공자 집단묘역인 국립 신암선열공원 개원식을 했다.
행사에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 정부 주요인사와 독립유공자 및 유족,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해 개원을 축하하고 애국선열들의 독립정신을 기렸다.
행사는 국민의례, 헌화·분향, 생존 애국지사 인사말, 기념사, 기념공연과 안장된 독립유공자 이름을 차례로 부르는 '롤 콜'도 했다.
이 총리는 기념사에서 "이곳에 잠드신 선열들께서 독립운동에 헌신했을 때는 남과 북이 따로 있지 않았다. 선열들이 꿈꾼 독립은 분단된 독립이 아니었다"며 "그러나 해방 조국은 남과 북으로 갈라졌고, 분단된 채 73년이 지났다"고 말했다.
이어 "나흘 전 남북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위한 획기적 토대가 마련됐다"며 "기적처럼 찾아온 평화의 기회를 우리가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독립운동의 역사를 더 올바르게 정리하고 의병과 여성 등 광복을 위해 희생했으나 여태 파악되지 못한 분들을 찾아 합당하게 예우하겠다"고 했다.
이 총리 등은 이어 을사늑약 이후 경북 영덕, 청송 일대에서 의병활동으로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은 임용상(1877∼1958) 지사 묘역을 참배했다.
임 지사는 공원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52명 가운데 훈격이 가장 높다.
신암선열공원은 대구 남구 시립공동묘지 일대에 흩어져 있던 애국지사 묘 7기를 1955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것이 시초다.
대구시가 1986년부터 본격적으로 묘역 성역화에 나서 이듬해 3만7천800여㎡ 터에 위패를 모신 단충사, 관리실 등 3개 건물로 공원을 만들어 준공했다.
건국훈장 독립장(1명), 애국장(12명), 애족장(33명), 대통령표창(2명)을 받은 독립유공자와 서훈 미취득자 4명 등 대구·경북에서 태어났거나 주소를 뒀던 독립유공자 52명이 묻혀 있다.
이들은 3·1만세 운동, 광복군·의병 활동, 일본·만주를 포함한 국내외 항일운동 등에 참여했다.
신암선열공원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현충시설로 국립묘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적용을 받지 못해 그동안 국비를 지원받아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지자체 현충시설의 국립묘지 승격 전례가 없어 법률 개정이 쉽지 않았으나 지난해 대구·경북지역 여야 국회의원 25명이 법률안 개정 발의에 적극적으로 나서 7번째 국립묘지로 지정됐다.
대구시는 이에 따라 작년부터 특별교부세 등 예산 16억원을 들여 국립묘지 위상에 걸맞게 신암선열공원을 새로 단장했다.
관리 주체도 대구시에서 중앙 정부로 바뀌었다. 또 독립유공자만을 안장하는 특화된 국립묘역뿐 아니라 유골을 찾을 수 없는 독립운동가 위패와 영정도 봉안할 수 있게 됐다.
du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