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맨 소비 여력 '뚝'…실질구매력 증가율 6년만에 최저

입력 2018-04-29 06:21
샐러리맨 소비 여력 '뚝'…실질구매력 증가율 6년만에 최저

고용시장 부진 탓…"올해도 민간소비 제약 우려"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지난해 임금 근로자의 실질구매력 증가율이 반토막이 되며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실질임금 상승이 0.8%에 그치고 임금 근로자 증가율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았던 결과로 분석된다.

29일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해보면 지난해 실질구매력은 1년 전보다 2.1% 증가했다.

이는 2011년(-0.2%)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실질구매력은 실질임금과 임금근로자 수를 곱해 구한다.

한 국가의 임금근로자 전체 소비 여력이 얼마나 되는지 엿볼 수 있는 지표로, 민간소비와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실질구매력 증가율은 2012년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전년 대비 5.0%를 기록한 데 이어 2013년 5.1%, 2014년 4.5%, 2015년 5.1% 등으로 5% 안팎을 유지했다.

2016년에도 1년 전보다 4.2% 늘었으나 지난해는 증가율이 반 토막이 됐다.

지난해 실질구매력 증가율이 급락한 것은 고용사정이 어려워서다.

작년 임금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41만8천원으로 1년 전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실질임금은 근로자들이 손에 쥐는 명목임금에 물가상승분을 반영한 급여 수준이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2011년(-2.9%) 이후 가장 낮았다.

임금근로자는 지난해 1천993만4천명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증가율도 1998년(-8.3%) 이후 19년 만에 최저였다.

구조조정 여파 등으로 기업들이 비용 줄이기에 나서며 채용을 꺼렸고 직원들에게 주는 급여를 늘리지 않은 것이다.

실질구매력이 전체 경제 구매력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자영업자 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고 월급쟁이라고 해도 금융소득 등 다른 돈벌이 수단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금근로자가 전체 취업자의 70%를 웃돌고, 임금근로자는 소득의 80∼90%가 근로소득임을 고려하면 민간소비와 실질구매력은 상관관계가 높다.

한은은 지난해 1월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를 낮추면서 임금근로자의 상반기 실질구매력 증가율 대폭 하락 예상을 근거로 내놓기도 했다.

올해도 실질구매력 확충, 민간소비 개선은 어렵다는 목소리가 크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노동 비용이 상승하다 보니 기업들이 추가 고용을 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고용시장 부진이 지속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소비는 당분간 좋아지기 어렵다"고 밝혔다.

[표] 실질구매력 전년 대비 증가율 추이(2011∼2017년)

┌─────┬──────────────┐

│ 연도(년) │실질구매력 증가율(전년대비) │

├─────┼──────────────┤

│ 2011 │ -0.2%│

├─────┼──────────────┤

│ 2012 │5.0%│

├─────┼──────────────┤

│ 2013 │5.1%│

├─────┼──────────────┤

│ 2014 │4.5%│

├─────┼──────────────┤

│ 2015 │5.1%│

├─────┼──────────────┤

│ 2016 │4.2%│

├─────┼──────────────┤

│ 2017 │2.1%│

└─────┴──────────────┘

※ 자료 : 한국은행, 고용노동부, 통계청 등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