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D-1] '65년 분단' MDL에 남북정상 '평화의 나무' 심는다
두 정상 기념식수는 처음…2007년 정상회담 때 노무현-김영남 진행
소 떼 방북 MDL에 소나무…한라산·백두산 흙-한강·대동강 물 사용
(고양=연합뉴스) 이정진 기자 = 남북 정상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지르며 65년간 분단의 상징이었던 군사분계선(MDL) 위에 평화를 염원하는 소나무를 심는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26일 공개한 남북 정상의 공동기념식수 계획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7일 오전 첫 번째 정상회담을 하고 별도 오찬을 가진 뒤 공동 기념식수로 오후 일정을 시작한다.
기념식수에 쓰이는 나무는 우리 민족에게 가장 친근한 소나무로 선정됐다. 정전협정이 체결된 1953년생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나무는 고 정주영 명예회장이 지난 1998년 소 떼를 몰고 고향을 방북했던 MDL 인근 '소 떼 길'에 심어진다. 당시 정 명예회장 일행은 판문점 북측 경비병 휴게소 오른쪽 공터를 통해 북한으로 들어갔다.
식수에 사용하는 흙과 물에도 남북 화합의 의미를 담았다. 한라산과 백두산의 흙을 함께 섞어 사용하고 식수 후에는 김정은 위원장은 한강수를 문재인 대통령은 대동강 물을 주게 된다.
식수 표지석에는 '평화와 번영을 심다'라는 문구와 함께 남북 정상의 서명이 새겨진다.
공동식수는 우리 측이 제안했고 북측이 수종과 표지석 문구 등을 모두 수락해 성사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남북은 2007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계기로도 소나무로 기념식수 행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아닌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나무를 심어 남북 정상의 공동 기념식수는 아니었다.
당시 기념식수에도 우리가 가져간 소나무가 사용됐고, 한라산과 백두산에서 가져온 흙과 백록담과 천지의 물이 함께 사용됐다.
그러나 북측의 반대로 표지석은 설치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김만복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대통령 선거일 하루 전인 2007년 12월 18일에 방북, 북측을 설득해 표지석을 설치해야 했다.
한편 남북 정상은 공동식수를 마친 뒤 MDL 표식물이 있는 '도보다리'까지 산책을 함께하며 담소를 나눈다.
'도보다리'는 정전협정 직후 중립국 감독위가 판문점을 드나들 때 동선을 줄이기 위해 판문점 습지 위에 만들었다. 유엔군사령부에서 풋 브리지(FOOT BRIDGE)라고 부르던 것을 그대로 번역해 '도보다리'로 부르게 됐다.
'도보다리'는 2018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며 확장 공사가 진행됐다.
청와대는 "도보다리의 확장된 부분에 있는 군사분계선 표식 바로 앞까지 남북 정상이 함께 찾아간다는 것 자체가 '한반도에 평화가 찾아오고, 협력과 번영의 시대를 맞는다'는 커다란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이제부터 '도보다리'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슬로건인 '평화, 새로운 시작' 그 자체를 상징하는 역사의 현장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transi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