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터에서 끌려가 태국서 40년…위안부 피해 노수복의 일생
서울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6명 증언 담은 사례집 출간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나, 광산 노가 노수복이. 내 동생 노수만이, 여동생 노순음이"
잊고 있었던 한국말이 40년 만에 터져 나왔다. 일본군 위안부로 태국에 끌려간 (故) 노수복 할머니가 1984년 3월 방콕 한국대사관을 찾아갔을 때다.
노수복은 1921년 경북 안동에서 2남 2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겨우 입에 풀칠이나 할 정도로 가난했기에 14살의 어린 나이에 신랑 얼굴도 보지 못하고 시집을 가게 된다.
남편은 한센병 환자였고 시집살이는 혹독했다. 눈물로 지새우다 친정에 갔으나 아버지가 "죽어도 시가에서 죽고 살아도 시가에서 살라"고 쫓아내 식모살이 일을 하러 부산에 갔다.
1942년 가을, 부산 근교 우물가에서 빨래하던 중 일본 순사 서너 명이 나타나 노수복에게 물을 달라고 청했다. 물을 떠주고 우물가를 떠나는 순간, 순사가 그를 붙잡았다. 발버둥 치다 잡혀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40일 항해 끝에 도착한 곳은 싱가포르였다.
생전 노수복은 "막사로 가서 방을 하나씩 배정받은 후 조금 있으니 장교 한 사람이 들어왔다. 몇 차례 실랑이 끝에 매를 맞고 정신을 잃고 말았다. 다시 깨어났을 때 나는 이미 다른 사람이 돼 있었다. 지옥 같은 위안부 생활이 시작됐다"고 증언했다.
노수복은 아침에 일어나 군인들의 옷을 빨거나 청소를 하고 오후에는 탄약통을 져 날랐다. 이 와중에 하루 60명의 병사를 맞는 고통을 겪기도 했다.
그는 이렇게 7∼8개월 지낸 뒤 군용트럭에 실려 방콕 깐짜나부리로 이동한다. 여기서 일본군이 연합군에 항복하자 노수복도 영국군 포로수용소에 수용된다.
전쟁이 끝난 뒤 돌아갈 곳이 없다고 생각한 노수복은 포로수용소에서 탈출해 말레이시아, 태국 등지를 전전한 끝에 태국 핫야이에 정착해 결혼하고, 가정을 이룬다. 태국에서 40년 넘게 사는 동안 한국말은 거의 잊었다.
그러던 중 1983년 말 한국에서 이산가족찾기운동을 한다는 것을 알고 방콕 한국대사관을 찾아간 것이었다. 노수복은 1984년 3월 12일 한국의 동생들과 KBS 위성중계방송으로 만났다.
노수복 할머니 같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16인의 생생한 증언과 미국·태국·영국에서 새로 발굴한 위안부 관련 자료를 담은 사례집이 오는 22일 발간된다.
서울시와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교수연구팀은 '끌려가다, 버려지다, 우리 앞에 서다 - 사진과 자료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이야기'를 출간한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과 근거 자료를 접목한 사례집을 국내 최초로 발간했다. 두 번째로 나온 이번 사례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그간 노수복·문옥주의 증언만 있었을 뿐 크게 주목받지 못한 태국 위안부 관련 자료다.
노수복이 수용됐던 태국 깐짜나부리 수용소, 문옥주가 수용됐던 아유타야 수용소 외에도 우본에 위안부들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가 사례집에 담겼다.
우본 수용소를 관리하던 영국군 대령 데이비드 스마일리가 위안부 5명의 사진을 남겨뒀다.
스마일리 대령은 회고록에 일본인인 줄 알았던 조선인 여성 15명이 어느 날 자신의 집에 찾아와 억울한 사연을 이야기하고 보호를 요청했다고 남겼다.
스마일리 대령이 위안부 여성들의 빚을 없애 주고 놓아줄 것을 일본군에 명령해, 이들은 수용소가 아닌 마을에서 살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많은 이들에게 그저 위안부 피해 할머니로만 인식돼 있는 피해 여성들의 '인간'으로서 삶을 소개하고, 공감대를 넓히고자 했다"고 밝혔다.
일본군이 위안소를 운영한 지역이 중국, 일본, 싱가포르, 버마(미얀마) 등 아시아·태평양 전 지역에 광범위하게 걸쳐있으며 한국인 피해 여성이 이곳저곳으로 끌려갔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피해자들을 선정했다. 피해 여성이 끌려간 경로와 귀환 경로도 지도로 표시했다.
엄규숙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사례는 자료와 증언집으로 기록해 사료로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며 "구체적 증거를 통해 위안부 실태를 명확히 증명해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