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車 한번 충전하면 몇㎞ 가나?" 문 대통령 '깨알 질문'(종합)
문 대통령, 자율주행·수소차 시승해 큰 관심 보여
문 대통령 탄 시승차 만남의 광장∼판교IC 구간 자율 운행
"우리 자율주행차 이미 상당한 수준…아주 기뻤다"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자율주행차는 차량뿐 아니라 도로와도 통신이 필요하지요?", "수소를 한번 충전하면 몇 ㎞나 주행할 수 있습니까?" "너무 조용해서 약간 소리를 넣어야 되겠어요"
2일 현대차가 개발한 자율주행·수소차 '넥쏘'를 시승한 문 대통령이 미래 자동차에 대해 깨알 같은 질문을 쏟아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경부고속도로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시승차에 오르기 전 현대자동차 자율차 개발팀장인 이진우 상무로부터 자율주행·수소차에 관해 설명을 듣고 시승차를 자세히 살펴봤다.
문 대통령이 시승한 차는 수소전기차량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한 '첨단과 첨단이 결합한' 미래 자동차다.
문 대통령은 허리를 숙여 차량 앞부분에 부착된 레이더 기반 센서를 살펴보고 사이드미러에 부착된 카메라를 직접 만져보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또 시승차에 5G 통신기술이 접목돼 있다는 설명에 "이동통신 기술은 우리가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것 아닌가.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뿐 아니라 도로와 차량 간에도 일종의 통신이 필요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상무는 "차량도 스마트해야 하고 도로와 도시도 스마트해져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문 대통령이 "만남의 광장부터 판교 IC, 평창 IC까지 스마트 도로 기능이 갖춰져 있는가"라고 묻자, 이 상무는 "차선을 보고 도로를 다닐 수 있게 돼 있고 톨게이트와 신호동에도 일정 부분 스마트 도로 기능이 갖춰져 있다"고 답했다.
이어 양웅철 현대차 부회장이 "5분 충전에 600㎞를 주행할 수 있다"고 설명하자 문 대통령은 "수소 차량이 더 많이 보급되려면 수소 충전 시설이 곳곳에 있어야 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 상무가 "지금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인데 전혀 소음이 나지 않고, 매우 조용하다"고 하자, 문 대통령은 "오히려 전기차와 수소차는 주행음이 나지 않아서 더 문제더라. 시동이 켜져 있다는 사실을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에 양 부회장이 "차 안에는 시동이 걸려있다는 메시지가 나오고, 밖에서는 일부러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나오게 했다"고 하자, 문 대통령은 "거꾸로 소음을 넣는다니…"라고 말하며 웃음을 보였다.
이날 문 대통령이 탄 시승차는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판교 IC까지 약 10㎞ 남짓한 구간을 안전하게 자율주행했다.
문 대통령이 조수석에 탑승했고, 뒷좌석에는 이 상무와 자동차 영재로 알려진 김건 학생이 동승했다.
시승차에는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됐다. 자율주행 시스템은 레벨 0부터 5까지 6단계로 분류되며, 5단계가 가장 고도화된 자율주행 시스템이다.
자율주행 레벨 4는 고속도로 등 제한된 구간에서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다. 이 시스템이 탑재된 자율주행차에 탑승하면 고속도로 주행 중 잠을 자는 것도 가능하다.
시승을 마친 문 대통령은 판교 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미래차 산업 간담회'에 참석, 인사말을 통해 자율주행차를 시승한 소감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차선 변경도 하고 시속 110㎞까지 속도를 내는 자율주행차를 타고 왔다"며 "고속도로 제한 속도에 맞춰서 아주 빠르게 운행하고, 앞차와 거리를 유지하고 차선까지 바꾸는 것이 정말 놀라웠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 자율주행차량을 일반 고속도로에서 탑승하는 것에 대해 내부에서 걱정이 있었다"며 "모르면 용감하다고 아주 조심해서 가는 줄 알았는데 그런 정도가 아니더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미 빠르게 미래 자동차로 가고 있는 데 비해 우리가 조금 뒤처진 것이 아닌가 우려했는데 타보니 전혀 그렇지 않았다"며 "우리도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행에 아무 문제가 없고 한번 충전하면 600㎞를 갈 수 있고, 정밀 안내지도만 갖춰지면 어디든지 자율주행할 수 있는 수준까지 왔다는 사실을 알고 아주 기뻤다"고 말했다.
이어 "전기차·수소차 미래 자동차 보급을 늘리고 자율주행차에서 좀 더 앞서갈 수 있도록 국가가 모든 노력을 다해야겠다는 굳은 결심을 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기차는 2022년에 35만대 수준으로 늘리고, 2030년에는 전기차 300만대 시대를 열겠다"며 "수소차도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자율주행차량은 2022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와 스마트 도로에서 완전자율 주행이 가능하도록 목표를 세우고, 2030년에는 모든 지역에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인사말에 이어 이인호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미래차 산업 발전 전략을 보고했다.
이 차관은 ▲2022년까지 1만 곳 이상의 전기차 급속 충전소 구축 ▲2022년까지 전기차 구매 보조금 유지 ▲2030년까지 5개 도시의 대중교통·트럭 100% 전기차 전환 ▲실제 도로에서 자율차 경진대회 개최 ▲내연기관 부품기업의 미래차 전환 지원 체계 구축 ▲범국가적인 자동차산업발전위원회 운영 등의 방안을 보고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자율주행 스마트교통시스템 구축 방안을 발표했다.
김 장관은 "4차산업혁명의 기수, 자율주행차를 조기에 상용화하겠다"며 "2022년까지는 완전 자율주행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도로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고 차량 간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며 "2022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스마트 도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진 자유토론에는 자율주행차·수소차·전기차 등 미래 자동차 관련 기업 관계자와 연구원, 학생들이 참여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서울대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박솔아 씨는 "자율주행차 시대가 오면 택시기사처럼 일자리를 잃는 사람이 있고, 기존 양산 차 회사들도 출혈을 피할 수 없다"며 "그런데도 자율주행차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 질문에 문재인 대통령과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장하성 정책실장이 답했다.
문 대통령은 "자율주행차 개발에 뒤처지게 되면 관련 분야 전체를 외국에 의존해야 한다"며 "자동차 산업 흐름에 따라 우리가 당연히 해야 하는 당위적인 부분"이라고 답했다.
다만, "전기차·수소차가 대세가 되면 기존 자동차 엔진이 전혀 소용없게 되고, 운전종사자가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이 부분을 어떻게 해결하고 새로운 일자리로 옮길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장 위원장은 "우리가 혁신하지 않으면 글로벌 회사들이 우리를 혁신시키려 할 것"이라며 "혁신은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고, 그것이 더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답했다.
장 실장은 "미래차는 새로운 일자리와 연구자를 만들고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반드시 차에 운전자를 배치하는 효과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송병철 인하대 교수는 "학교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을 실증할 테스트 플랫폼이 없다"며 "표준화된 전기차를 값싸게 만들어서 학교에 테스트용으로 제공해 준다면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건의했다.
한 자동차 부품 생산업체 관계자는 "제조업을 하는 업체가 변화하기는 쉽지 않다"며 "기존 제조업체가 미래산업으로 가는 것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약하다"고 지적했다.
또 이재명 성남시장은 "판교·성남이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있다"며 "미래차 뿐 아니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대대적 산업 재편이 이뤄지고 있는데 문 대통령이 이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여 잘 될 것 같다"고 말했다.
kind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