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 관계단절' 요구에 비협조적인 아프리카…미, 압박 강화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미국이 북한 김정은 정권의 돈줄을 끊기 위해 아프리카 국가들에 북한과의 군사·외교 관계를 단절하라는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9일 보도했다.
북한과의 외교·무역관계 격하, 자국 내 북한 노동자 추방 등을 요구해왔지만, 그다지 성과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미국의 요구에 미온적으로 대응하거나 아예 무시하는 국가들도 있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북한 노동자와 외교관 추방을 원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미국은 아프리카에 주재하는 13개 북한 대사관이 그들 이익창출의 중심지라고 보고 있다. 북한이 무기 판매와 군사 훈련, 밀수, 공사 계약 등으로 그곳에서 벌어들이는 돈은 최소 1억달러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이 지정한 테러지원국 명단에 올라있던 수단은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작년 10월 북한과의 관계를 끊겠다고 발표했고, 미국은 제재를 완화했다. 나미비아 역시 북한과의 군사관계 단절을 위한 조치에 들어갔다.
그러나 다른 나라들은 미국의 요구를 무시하거나 반발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들에게 북한은 구소련식 군사무기를 유지하고 개량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다라 네빌 연구원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북한을 상대하는 다른 나라들보다 얻는 건 많고 잃는 건 적다"며 "북핵은 한·미·일을 위협하지, 콩고민주공화국이나 에티오피아를 향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에리트레아는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유엔에 보고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고, 모잠비크와 우간다, 콩고 등은 애매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동맹국으로 여겨지는 남아프리카공화국마저도 미국에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북한 대사관이 있는 남아공은 북한 무기 거래의 허브로 여겨진다.
앙골라, 모잠비크, 짐바브웨 등은 냉전 시대 이후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모잠비크의 수도 마푸토에는 김일성의 이름을 딴 도로가 있을 정도다.
그랜트 해리스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프리카 담당 선임보좌관은 이들 국가가 오랫동안 유지해온 북한과의 관계를 끊게 하려면 위협만 할 것이 아니라 경제·안보 측면의 인센티브도 줘야 한다고 말했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