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시나이 테러…4년여 대테러작전 무색한 이집트의 해법 '고심'(종합)

입력 2017-11-26 21:16
또 시나이 테러…4년여 대테러작전 무색한 이집트의 해법 '고심'(종합)

2013년 7월 이후 시나이반도서 1천700여건 테러공격·1천명 사망

"중앙정부 차별받아온 시나이 주민의 IS 지지 차단이 관건될 듯"

(카이로=연합뉴스) 한상용 특파원 = 이집트 동북부 시나이반도에서 현지시간으로 24일 최소 305명의 목숨을 앗아간 모스크(이슬람 사원) 겨냥 대형 테러 사건으로 이집트 정부의 대테러 전략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집트 정부가 시나이 북부에서 4년여 대테러 작전을 해왔지만 군인·경찰·친정부 성향의 주민을 노린 공격이 끊이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에 최악의 테러 사건까지 일어났기 때문이다.

시나이에서 이집트 정부의 대테러 전략이 실패를 거듭하고 극단주의 무장단체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그 전략이 바뀔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집트 정부는 2013년 7월 무함마드 무르시 전 이집트 대통령이 군부에 축출된 이후 군사력을 앞세워 시나이 통제를 대폭 강화했다. 시나이 북부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잇는 라파 국경도 장기간 폐쇄했다.

정부는 무르시 지지 세력과 가자지구의 극단주의 무장단체를 겨냥한 군사 작전을 명분 삼아 수만명의 군 병력은 물론 탱크와 전투기, 아파치 헬기를 배치했다. 시나이 북부와 인접한 해안에는 해군 함정까지 보냈다.

이 일대는 계엄령과 함께 야간 통행금지까지 내려졌다.

그러나 이집트 당국의 강경 대응에도 테러는 좀처럼 근절되지 않았다.

오히려 이집트군의 계속된 대테러 작전으로 숨진 이들이 늘어날수록 이슬람국가(IS) 이집트지부를 자처한 무장세력의 반격도 빈발했다.

주로 산악지대에 은신한 무장세력은 이집트 군인과 경찰을 집중 표적 삼았다. 이로 인해 2013년 7월 이후 지금까지 시나이에서 숨진 군인과 경찰 등 병력만 1천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200여명은 올해 사망한 수치이다.

미국 워싱턴 소재 '중동정책을 위한 타흐리르 연구소'에 따르면 이 기간 시나이 전역에서 1천700건 이상의 테러공격이 발생했다.

시나이 지역 주민 사이에서는 중앙정부에 대한 불만도 갈수록 증가했다.

시나이 북부의 모든 주요 통행로에는 군경 검문소가 설치됐고 주민은 신경이 날카로워진 군인들의 검문을 수시로 받아야 했다. 가자지구와 밀거래를 주요 수입으로 삼았던 주민은 장기간 국경 폐쇄와 1천700개가 넘는 터널 파괴로 경제적 삶도 갈수록 피폐해졌다.

이집트 정부가 2014년 이후 라파 지역에 완충지대를 설치한다며 이 일대의 민가와 농장을 강제 압수하거나 파괴하자 분노는 더 커졌다.

여기에 이집트군의 작전으로 친인척을 잃게 된 일부 주민은 정부에 적대적인 태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AP통신은 이 날짜 분석기사에서 이집트 정부는 테러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국가 애도 기간 선포, 상황 통제 발표, 대통령의 보복 선언 등으로 이어지는 같은 대응을 해 왔다며 300명이 넘게 숨진 이번 공격으로 정부의 대테러 전략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도 '모스크 학살, 이집트의 전략 실패를 드러내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중앙정부에 대한 현지 주민의 민심 이반이 IS 격퇴 실패의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이 황량한 시나이반도의 만성적인 실업과 빈곤, 문맹률 등 궁핍하기 그지없는 현지 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보다는 오직 군사적 방식으로만 접근한 탓에, 오히려 현지 주민은 중앙정부보다 IS를 지지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시나이반도 전문가인 모하메드 사브리는 자신의 저서에서 "이집트군은 (시나이) 민간인의 희생에 신경을 쓴 적이 없었다"며 "과도하고 무분별한 공권력 행사로 일가족이 숨지고 주택이 파괴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이집트 전문가로 활동했던 앤드루 밀러도 NYT에 "이집트인들은 IS가 단순한 테러 위협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데 실패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IS는 역사적으로 이집트에서 무시와 방치 속에 살아온 시나이 주민의 삶을 파고들었다"며 "테러리스트들을 없애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IS에 대한 시나이 주민의 지지를 끊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나이반도는 2011년 초 호스니 무바라크 독재 정권을 종식한 시민혁명 이후 정국 혼란 속에 치안이 급속도로 악화한 곳이기도 하다.

그만큼 이슬람 무장세력이 활동하기에 좋은 무대가 됐다.

1967년 3차 중동전쟁으로 이스라엘이 점령했던 시나이는 1979년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평화협정 이후 군대를 배치하지 않는 조건 아래 이집트로 반환됐다.

그러나 중앙정부의 차별에 불만을 품어 온 시나이 토착 주민과 유목민인 베두인족 일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은 무바라크 퇴진 이후 국내 정치 혼란과 치안 공백을 틈타 시나이에서 영향력을 계속해서 키워 왔다.

이들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이 몰락한 인접국 리비아 등지에서 꾸준히 밀수해 온 무기로 군사력도 강화했다.



gogo21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