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걷기는 닮았다"… 신간 '걷기, 철학자의 생각법'
(서울=연합뉴스) 황희경 기자 =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서서 걷는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저널리스트인 로제 폴 드루아는 걷기가 인간만의 고유한 특징이라는 부분에 주목한다.
그는 신간 '걷기, 철학자의 생각법'(책세상 펴냄)에서 인간의 만물의 영장이 된 이유 역시 걷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가설을 제기하며 걷기와 생각하기의 관계를 고찰한다.
이야기는 걷기의 속성에서 출발한다. 걷는다는 것은 본질적으로 추락에서 시작한다. 한 발을 다른 발 앞에 놓는 것은 거의 자신을 넘어뜨리는 일이다. 그러나 재빠르게 다른 발을 다시 움직여 균형을 회복하는 일이 반복됨으로써 걸을 수 있게 된다.
저자는 이런 점에서 걷기와 말하기, 생각하기가 같은 구조라고 본다. 말을 할 때 각 단어는 침묵으로 끝나지만 한 단어에서 다른 단어로 넘어가며 문장이 나아가고 의미가 진전되고 전달된다.
생각도 마찬가지다. 반박과 비판적 분석은 명백하고 확실하다고 믿었던 것을 불안정하게 흔들고 휘청거리게 한다. 그러나 사유를 통해 자기를 방어하고 안정을 회복해 조금 더 나아갈 수 있으며 다시 새로운 반박이 이어지는 과정이 되풀이된다.
이런 의미에서 저자는 '우리의 문장은, 생각들은 걷는다'고 표현한다.
책은 동서고금의 사상가 27명의 철학을 살피면서 그 속에서 걷기와 생각의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서는 동굴에 묶여 몸도 결박당하고 다리에는 족쇄가 채워진 죄수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등 뒤에 있는 불빛이 만들어내는 그림자만 볼 수 있을 뿐이다. 이 죄수들처럼 우리는 우리가 지각하는 것만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무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동굴 밖 현실로 나와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걸어 나와야 한다.
플라톤이 '그들 중 한사람이 풀려나와서 고개를 돌리고 빛을 향해 걸어가 바라볼 수밖에 없을 때'라고 표현했을 때 '걷기'는 생각하기와 동일한 활동이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에는 '걷기'에 대한 언급이 4번 등장한다.
그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언제나 바른길을 따른다면 아주 천천히 걷더라도 길을 벗어나 달리는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이 나아갈 수 있다"라고 했다. 또 진리 탐구자로서 개인적인 탐색이 어떻게 시작됐는지를 이야기할 때는 "나는 언제나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법을 터득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혔다. 나의 활동들을 명확히 보기 위해, 그리고 이 삶에서 확신을 하고 걷기 위해"라고 썼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제 더는 걷지 않아도 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장을 보기 위해, 일하기 위해 걷지 않아도 기계가 알아서 해주는 시대다. 저자는 걷기가 멈추면 모든 측면에서 인류의 소멸이 될 것이라면서도 걷는 세상의 끝은 임박하지도, 확실하지도 않다고 말한다.
많은 현대인이 걷기의 실종 가능성을 어느 정도 분명하게 인식하고서 다시 걷기 시작했고 걷기에 대해 성찰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걷기가 중요한 것은 그것이 우리가 풍경과 더불어 움직이는 '한몸이 되게' 해주고, 우리 존재 방식의 척도 자체가 되기 때문이다." 백선희 옮김. 220쪽. 1만4천800원.
zitro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