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1대로 시작한 '전자정부' 50년만에 세계정상 '우뚝'

입력 2017-11-01 10:00
컴퓨터 1대로 시작한 '전자정부' 50년만에 세계정상 '우뚝'

1967년 경제기획원에 IBM 컴퓨터 들여놓으며 첫발

유엔·OECD 등 연이은 '호평'…김부겸 "혁신과 발전의 연속"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올해로 한국이 '전자정부'를 도입한 지 50년을 맞았다.

1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한국이 전자정부의 첫발을 내디딘 것은 1967년 6월 24일이다. 당시 경제기획원에서 도입한 인구통계용 컴퓨터가 가동을 시작한 것이 한국 전자정부의 시초로 꼽힌다. 인구센서스 통계업무의 처리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해 미국 IBM사가 개발한 'IBM 1401' 기종 컴퓨터를 사무실에 처음 들여놓은 것이다.

비록 컴퓨터 1대로 시작된 전자정부이지만 1980년대에는 국가의 근간이 되는 주민·자동차·부동산 행정 전산화를 추진했고, 1990년대에는 행정·금융·국방 등 5대 국가기간 전산망을 구축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전자정부의 토대가 된 전자정부법을 세계 최초로 제정했다.

김대중 당시 대통령은 2000년 1월 3일 신년사를 통해 지식정보 혁명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천명했다. 이후 실무 부처에서 전자정부법 제정을 준비했고, 국회 협의를 거쳐 이듬해 3월 28일 '7장 52조'로 된 전자정부법이 제정됐다.



이를 바탕으로 전자정부 11대 과제와 전자정부 31대 로드맵을 통해 전자정부 발전에는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초고속 국가정보통신망 구축으로 중앙과 지방, 공공과 민간이 하나로 연결되면서 국가사회 전반의 효율성이 제고됐다는 평이 나온다.

한국의 전자정부는 발전을 거듭해 유엔(UN) 전자정부 평가에서 3회 연속 1위에 올랐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에서도 2회 연속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세계가 인정하는 전자정부 최선도 국가로 올라선 셈이다.

한국의 전자정부 서비스가 해외에서 호평을 받으면서 협력을 요청해 온 국가도 늘어나 47개국, 4개 국제기구와 55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상태다.

또 1998년 이후 145개국에서 4천446명이 한국을 찾아와 전자정부 서비스와 제도 등을 배우고 돌아갔다. 전자정부 수출액도 매년 늘어나 2015년까지 총 23억 달러(72개국)를 기록했다.



행안부는 지난달 전자정부법을 개정해 경제기획원에 컴퓨터가 처음 도입된 날인 6월 24일을 '전자정부의 날'로 규정하는 조항을 넣었다. 전자정부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펼쳐질 50년을 새롭게 준비하자는 뜻에서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최근 낸 '전자정부 50년' 백서 발간사에서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반세기 역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혁신과 발전의 연속이었다"며 "50년 후에 발간될 '전자정부 100년사'에서는 전자정부의 무한 가능성이 상상 그 이상으로 실현돼 담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edd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