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시총 100대 기업 40% 교체…혁신기업 진입 고작 6개

입력 2017-10-17 06:01
10년간 시총 100대 기업 40% 교체…혁신기업 진입 고작 6개

미국 11곳과 대비…'톱10' 교체 중 미국은 절반이 첨단기업, 한국은 1곳

'제4회 딜로이트-CEO스코어 정책포럼'서 분석 결과 발표

(서울=연합뉴스) 이승관 기자 = 지난 10년간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가운데 40% 이상이 교체됐지만 제조·금융업 중심의 전통 대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 구조에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미국 증시에서 첨단 IT·서비스 산업의 혁신 기업이 시총 상위에 대거 진입한 것과 대비되는 것으로, 글로벌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뒤처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지난 2006년 3월말과 올해 9월 5일 종가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증시의 시총 상위 100대 기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각각 41곳과 43곳이 교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증시의 시총 100대 기업 교체율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던 셈이나 신규 진입한 기업의 면모는 판이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서비스·IT 전기·전자 기업은 6곳에 불과했다. SK(14위)를 비롯해 넷마블게임즈(28위), 삼성SDS(30위), 카카오(36위), CJ E&M(89위) 등 서비스 5개사와 전자부품 업체인 LG이노텍(66위) 등이다.

이에 비해 미국의 경우 페이스북(4위), 액센추어(44위), 차터커뮤니케이션스(45위), 엔비디아(46위), 프라이스라인닷컴(50위) 등 11곳에 달했다.

또 자동차 업종 가운데서도 테슬라가 83위로 새로 진입하면서 미국 내 매출 1위인 GM(88위)을 앞질렀고, 유통 업종에서도 온라인 기반의 아마존이 3위에 오르는 등 전통 업종 내의 격변도 두드러졌다.

범위를 좁혀 시총 상위 10대 기업의 변화를 보면 양국의 격차가 더욱 두드러진다고 CEO스코어는 지적했다.

미국은 최근 10년간 6곳이 교체된 가운데 신규 진입 기업은 시총 1위인 애플을 비롯해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등이다. 2개 금융사를 제외한 4곳이 모두 4차 산업혁명과 직결된 기업이다.

우리나라는 신규 진입 기업이 LG화학, 네이버, 삼성물산, 현대모비스 등 4곳으로, 네이버를 제외하면 모두 전통 제조업이다.

잔류 6개 기업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IT 전기·전자 업체이지만 현대차, 포스코, 한국전력, 신한지주 등은 전통 제조·금융업체다.

CEO스코어는 "이른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해법으로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지난 10년간 국내 대기업의 지형 변화는 거의 없었던 셈"이라고 평가했다.

CEO스코어는 이런 분석 결과를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서울에서 열리는 '제4회 딜로이트-CEO스코어 정책포럼'에서 발표한다.



huma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