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한국 잠재력 커…'규제 샌드박스' 낙관적"
무라트 손메즈 세계경제포럼 4차혁명센터 총괄대표 기자회견
KAIST를 공식 파트너로 파트너십 체결…공동 연구·정책개발 하기로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무라트 손메즈 세계경제포럼(WEF) 4차산업혁명센터 총괄대표는 13일 4차산업혁명 분야에서 한국의 잠재력이 크다며 한국 정부의 관련 정책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손메즈 대표는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세계경제포럼 공동 주최로 열린 4차산업혁명 라운드테이블 기자회견에서 이렇게 말했다.
손메즈 대표는 한국정부의 4차산업혁명 정책에 대한 질문을 받고 "각국 정부들이 4차산업혁명 관련한 거버닝에 문제를 겪고 있는데, WEF는 문 대통령이 관련 정책에 포커스를 두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우리 정부가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가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재설계하고 신기술 테스트를 한시적으로 허용하는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추진중인 데 대해 낙관적 평가를 내렸다.
그는 "스마트한 규제를 도시에 적용하면 어떤 영향이 있는지 경험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4차산업혁명이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드론, 자율주행차 등을 4차산업의 주요 분야로 꼽았다.
또 "일자리 창출은 모두 우리가 하는 것에 달려 있다"며 "사업자 간, 교육기관 간 국제적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손메즈 대표는 이 자리에서 WEF가 개별 대학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KAIST를 공식 파트너로 선정해 파트너십을 맺고 다양한 협력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KAIST 4차산업혁명 지능정보센터는 세계경제포럼 4차산업혁명센터와 이날 체결한 협약에 근거해 핵심 연구원을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파견해 4차산업혁명 관련 연구와 과학기술 모니터링, 관련 정책개발 등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특히 WEF는 '일자리의 미래(Future of Jobs)' 국가별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한국 사례를 최초로 작성하기로 하고 한국 정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KAIST는 이 리포트 작성에 참여한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한국은 지금까지 추격 전략으로 반세기만에 경제적인 성과를 얻었다"며 "이제는 세계의 변방에서 중심으로 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일자리의 양이 아니라 질로의 패러다임 변화기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어떤 교육으로 인간과 AI가 공생할 수 있을 것인가가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KAIST-WEF 공동 주최로 열린 라운드테이블 분과별 토론에서는 ▲ 4차산업혁명과 미래 일자리 ▲ 성공적인 혁신생태계 구축 방안 ▲ KAIST 맞춤형 중소기업 4.0 프로젝트를 주제로 참석자들이 의견을 나눴다.
'성공적인 혁신생태계 구축 방안' 분과의 좌장을 맡은 이원재 여시재 기획이사는 "단순노동을 포함해 유통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자리가 없어지게 될 것"이라며 "대학의 역할도 평생교육기관으로 달라져야 한다는 이야기를 나눴다"고 소개했다.
srch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