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신규 조종사 3천명 공급…항공사 교육기능 강화
조종사 양성 방식 '선교육 후선발'→'선선발 후교육' 전환
(세종=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내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신규 조종사 3천명이 공급된다.
조종사 양성 방식은 현재 '선(先)교육 후(後)선발'에서 '선선발 후교육'으로 바뀐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이런 내용의 '조종사 수급 정책 추진방향'을 확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 항공 업계가 조종사 부족이 심각하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해 지난 6월 2차관 주재 항공사 간담회를 시작으로 업계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댄 끝에 대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대책에 따르면 2018∼2022년 5년간 양질의 신규 조종사 3천명이 국내 항공시장에 공급된다.
현재 9개 국적 항공사에 근무하는 조종사는 총 5천711명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국적 항공사들이 5년간 152대의 항공기를 추가로 도입해 1천800명의 조종사가 새로 필요하고, 퇴직 400명, 해외 이직 500명 등으로 총 2천700명의 조종사 수요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여기에 신규 항공사 등장으로 300명 가량의 조종사 수요가 더 생겨날 것으로 예상했다.
국토부는 조종사 3천명 공급을 위해 항공사의 교육 기능을 강화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현재 항공사들은 자체 조종사를 양성하기보다 조종 자격을 취득한 뒤 일정한 경력을 쌓은 조종사를 선발하는 방식으로 조종사를 충원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작년 국내 조종사 시장에 공급된 조종사는 1천101명이었지만, 국적사 채용은 697명에 그쳤다.
사업용 조종사 자격을 취득하려면 비행시간을 200시간 채우면 되지만, 실제 항공사들은 보통 250시간에서 많게는 1천시간까지 비행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미스 매칭' 때문에 조종사 자격을 따고도 해외로 나가 1∼3년 동안 억대에 달하는 돈을 지출하며 비행시간을 채우는 '비행 낭인'까지 양산되고 있다는 것이 국토부의 판단이다.
국토부는 앞으로 항공사들이 조종사 후보생을 먼저 선발한 뒤 맞춤형 교육을 하는 방식으로 교육 체계를 바꾸도록 유도한다.
항공사에 조종사 연간 수급계획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고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이를 통해 항공기 도입, 신기종 전환, 타 항공사 이직 등에 대응해 선제적으로 예비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단기 전략으로 비행훈련 인프라 확충, 조종훈련 품질 향상, 항공사·훈련기관 협의체 설립 등도 추진한다.
비행훈련 인프라 확충 비용은 현재 지방공항에 면제해주고 있는 연 16억원 규모의 시설 사용료를 다시 징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7대 대학, 11개 업체가 정부 인가 없이 비행 훈련기관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정부 인증을 의무화해 조종사 교육훈련 수준을 높인다.
아울러 조종사 훈련 프로그램을 양질로 표준화하고, 조종사 수급대책을 효율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항공사·훈련기관 협의체를 만든다.
조종사를 꿈꾸는 저소득층의 우수 자원을 위한 장학금 및 대출 보증 등 지원 방안도 준비한다.
중단기 대책으로 현재 3년 과정인 부조종사 과정을 2년으로 단축하고, 훈련용 비행장 건설, 베트남 등 미활용 공항시설을 이용한 외국 훈련 인프라 활용 방안 등을 추진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신규 항공사 설립, 해외 이직 등으로 수요가 날로 증가하는 조종사를 국내 시장에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