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발전 통합관제시스템 구축…"변동성 대응"

입력 2017-09-19 17:33
수정 2017-09-19 17:37
신재생 발전 통합관제시스템 구축…"변동성 대응"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전력 발전이 일정하지 않은 신재생에너지의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이 구축될 전망이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 워킹그룹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브리핑하고 신재생 간헐성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간헐성은 흐리거나 바람이 불지 않는 날씨 등 환경에 따라 전력 생산의 변동이 큰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을 지칭한다.

우선 워킹그룹은 간헐성에 대비한 백업발전설비를 더 확충하기로 했다.

앞서 예비율 워킹그룹은 지난 13일 신재생의 간헐성을 고려해 초안에서 발표했던 2031년 적정 예비율(20~22%)을 기존 7차 수급계획과 같은 22%로 산정한 바 있다.

백업설비로는 신속하게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속양수,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워킹그룹은 변동성이 있는 신재생 발전량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계측하며 출력이 급변할 경우 제어할 수 있는 통합관제시스템 구축을 제안했다.

신재생 비중이 높은 국가들은 발전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간헐성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워킹그룹은 설명했다.

신재생 사업자들이 발전단지별 기상 예보를 토대로 발전량을 예측해 제출하면 전국 및 지역 단위 관제시스템에서 이런 정보를 종합, 분석해 간헐성에 선제 대응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2017년 말까지 시범 시스템을 구축하고 2018년부터 2년간 시험운영을 거쳐 신재생 비중이 크게 늘어나는 2020년 이후에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워킹그룹은 간헐성에 대비한 백업설비와 유연성 자원에 대한 투자가 충분히 이뤄지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이런 설비 보유를 의무화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도 조언했다.

발전업계 일각에서는 백업설비 확보에 대한 비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예를 들어 백업설비로 거론되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경우 1MW 용량에 7억원 정도가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워킹그룹 위원인 이상훈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장은 "비용이 특별히 고려할 정도로 크지는 않다"며 "일본의 경우 44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의 계통 안전을 위해 특별히 한 게 없다"고 말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