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폭탄 돌리기' 中 과잉민간부채, 금융위기 직전 美 2배 수준

입력 2017-09-11 07:19
'빚폭탄 돌리기' 中 과잉민간부채, 금융위기 직전 美 2배 수준

민간부채 문제, 10년 사이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전이

韓 부채상환비율 계속 높아 글로벌 금리 인상기에 취약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최근 10년 사이에 민간 분야의 '부채 폭탄'이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문제에서 중국, 홍콩 등 신흥국으로 옮겨온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글로벌 부채 위기의 대(大)순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중국 과잉 민간부채 규모는 최대 3조 달러(약 3천393조원)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미국(1조7천억 달러)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과잉 민간부채는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대비 민간부채 증가율 차이에 명목 GDP를 곱해 산출한 것이다.

2007년 4분기 당시 과잉 민간부채 총액은 3조7천억 달러, 전 세계 GDP의 6% 수준이었다.

2016년 4분기 과잉 민간부채 총액은 4조1천억 달러, GDP 대비 5%로 2007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2007년에는 글로벌 과잉 민간부채의 대부분은 미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비중이 커진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지난해 말 중국의 과잉 민간부채 규모는 3조 달러였고, 이외 신흥국 부채 규모는 5천억 달러로 집계됐다. 전 세계 과잉 민간부채의 대부분이 신흥국에서 발생한 셈이다.



민간부채 증가율과 GDP 성장률 사이의 간극만 따지면 홍콩에서 가장 크게 격차가 벌어졌으며 중국, 캐나다, 칠레, 태국, 말레이시아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두 지표의 간극이 크게 벌어진다는 것은 경제가 성장하는 속도보다 부채 팽창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로, 해당 국가의 부채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캐나다를 제외하고는 상위 10개국 가운데 9개국이 신흥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영국, 독일 등은 오히려 경제 성장세가 부채 증가속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꾀하고 유로존도 조만간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할 것이라는 관측이 팽배한 상황에서 민간부채가 경제 성장률보다 빠르게 늘어나는 것은 큰 위험요인이다.

또 다른 지표인 소득 대비 채무상환비율의 경우 한국, 네덜란드, 홍콩, 노르웨이, 캐나다, 벨기에, 브라질, 호주, 스웨덴, 중국 등이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높은 국가로 꼽혔다.

이들 국가는 향후 몇 년 동안 글로벌 기준금리가 상향조정되면 취약한 국가라고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지적했다.

한편 중국의 부채 규모가 무서운 속도로 부풀어 오르고는 있지만 과거 미국처럼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도 나왔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우선 중국의 역외 투자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가 정부 당국이 나서서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