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희생자 유해발굴 내년부터 재개…8년 만에
제주국제공항·북촌 너븐숭이 등 4곳서 200여구 발굴 추진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2010년부터 중단됐던 제주4·3 행방불명인 유해발굴 사업이 내년부터 다시 추진된다.
제주도는 6일 제354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도중 이뤄진 4·3 특별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현안업무보고를 통해 제주 4·3 당시 학살·암매장된 희생자의 유해발굴과 유전자 감식을 통해 신원을 밝혀 가족을 찾는데 국가의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는 국비 13억8천만원을 들여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주국제공항과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너븐숭이, 조천읍 선흘리 은지난목, 서귀포시 대정읍 구억리 다리논 등 4곳에서 유해발굴 사업을 진행한다.
제주공항에 200여구, 너븐숭이·은지난목·다리논에 각 1구의 희생자가 묻혀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많은 희생자가 묻혀있을 것으로 보이는 제주국제공항의 경우 남북활주로 사용이 중단돼야 발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을 것이라 우려도 제기된다.
이경용 도의원은 "주로 동서활주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남북활주로의) 사용 빈도가 낮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유해발굴이 가능할지 우려된다"면서도 "4·3 영혼들이 비행기 바퀴 속에 짓밟히는 일이 계속돼서는 안 된다. 과감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승언 제주도4·3지원과장은 "한국공항공사 등 유관기관으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적극 검토하겠다는 의견을 받았다"며 "예산이 확보된 만큼 실질적인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4·3 유해 발굴사업은 2006년 시작됐으며 2010년까지 400여구의 유해를 발굴, 이중 71구가 유전자 감식을 통해 신원을 확인했다.
2011년부터는 국비가 반영되지 않아 발굴과 유전자 감식사업을 하지 못했다.
도는 2010년부터 지방비 4억900만원을 투입해 유전자 감식사업을 자체적으로 하기 시작, 현재까지 21구의 신원을 추가로 밝혀냈다.
제주 4·3사건이 발생한 지 70년이 다 돼가지만 아직도 희생자 유해 300여구가 신원 확인이 안 돼 이름을 찾지 못하고 있다.
4·3사건은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된 사건이다. 정부는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 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2014년에는 4월 3일을 국가추념일로 지정했다.
bj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