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사라' 필화로 우울증 겪다 떠난 마광수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5일 별세 소식이 전해진 마광수 전 연세대 교수는 '즐거운 사라' 필화 사건으로 성윤리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서며 곡절 많은 삶을 살았다.
1951년 서울에서 태어난 작가는 연세대 국문과와 대학원을 나왔다. 성에 대한 가감없는 묘사가 담긴 소설로 널리 알려졌지만 문학 인생의 출발은 시였다. 윤동주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77년 현대문학에 '배꼽에' 등 6편의 시가 추천되며 등단했다. 28세에 대학 교수로 임용되면서 천재로도 불렸다.
고인은 1991년 소설 '즐거운 사라'를 펴내고 이듬해 10월 음란물 제작·반포 혐의로 구속되면서 예술과 외설의 경계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일으켰다. '즐거운 사라'는 여대생 '사라'가 성 경험을 통해 자기정체성을 찾아간다는 내용의 소설이다.
성 문제를 음지의 영역에서 공론장으로 끌어내야 위선적 성문화를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게 고인의 신념이었다. 그러나 '즐거운 사라'가 변태적 성행위와 스승·제자의 성관계 등을 적나라하게 묘사한 '음란물'이라는 혐의를 받으면서 예술과 외설의 구분, 창작과 표현의 자유로 논쟁이 번졌다.
고인이 구속되자 문학계뿐 아니라 미술·영화 등 문화예술계 전반에서 구명운동을 벌였다. 대다수 문화예술인은 고인의 구속수감을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공권력의 시대착오적 탄압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3년간 재판 끝에 1995년 6월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이 확정됐다. 당시 법원은 "정상적인 성적 정서와 선량한 사회풍속을 침해하고 타락시키는 정도의 음란물까지 허용될 수 없다. 이 소설은 그 한계를 벗어난 것이 분명하다"며 '즐거운 사라'를 음란물로 판정했다.
고인은 대법원 확정판결로 해직된 이후 복직과 휴직을 반복하다가 지난해 8월 정년퇴임했다. 해직 경력 탓에 명예교수 직함도 얻지 못했고 필화 사건의 상처와 동료 교수들의 따돌림에 극심한 우울증을 앓았다.
'광마집'(1980)부터 '모든 것은 슬프게 간다'(2012)까지 시집 여섯 권에서 작품들을 골라 올해 초에 낸 '마광수 시선'(페이퍼로드)이 마지막 책이었다. 그는 당시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우울하다", "서운하다"라는 짧은 말을 반복했다. 최용범 페이퍼로드 대표는 "책을 내며 강연회를 계획했지만 우울증세가 너무 심해 하지 못했다. '사회적으로 학살당했다'며 트라우마에 시달렸다"고 전했다.
필화 사건 이후에도 작품활동을 했지만 자기검열 탓에 과거처럼 적극적이지 못했다. 소설 '광마일기'(1990)와 시집 '가자 장미여관으로'(1989), 에세이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1989) 등 필화 이전의 작품들이 대표작으로 남아있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는 그보다 10년 전 쓴 동명의 시에서 제목을 따온 것이다.
"화장한 여인의 얼굴에선 여인의 본능이 빛처럼 흐르고/ 더 호소적이다 모든 외로운 남성들에게/ 한층 인간적으로 다가온다 게다가/ 가끔씩 눈물이 화장 위에 얼룩져 흐를 때/ 나는 더욱 감상적으로 슬퍼져서 여인이 사랑스럽다/ 현실적, 현실적으로 되어 나도 화장을 하고 싶다" ('나는 야한 여자가 좋다' 부분)
dad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