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총선 마지막 변수 TV토론서 메르켈 우위…난민정책등 난타전
메르켈·슐츠, 관계악화한 터키 놓고 "EU 가입 반대" 한목소리
메르켈, 북핵 문제 놓고 "미국의 외교적 해결 도울 것"
(베를린=연합뉴스) 이광빈 특파원 = 3주 앞으로 다가온 독일 총선에서 마지막 변수로 꼽혀온 TV토론이 끝난 뒤에도 '메르켈 대세론'은 크게 흔들림이 없는 분위기다.
기독민주·기독사회당 연합을 이끄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경쟁자인 마르틴 슐츠 사회민주당 당수 간의 양자 TV토론이 3일(현지시간) 밤 97분간 치열하게 벌어졌다.
메르켈 총리와 슐츠 당수 간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이날 TV토론은 슐츠 당수에게 마지막 역전의 기회로 여겨져 왔다. 기민·기사당 연합은 사민당을 각종 여론조사에서 14%p 전후로 따돌려왔다.
메르켈 총리를 상대로 "유권자와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해온 슐츠 당수는 TV토론에서의 승리를 토대로 역전극을 만들어내겠다고 호언장담했다.
그러나 독일 공영방송 ARD가 TV토론 직후 시청자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는 메르켈 총리의 손을 들어줬다. 35%는 슐츠가 우세했다고 응답했다.
공영방송 ZDF의 조사에선 메르켈 총리가 잘했다는 응답이 32%로, 슐츠 당수(29%)를 근소한 차로 앞섰다.
메르켈 총리와 슐츠 당수는 난민 문제부터 북핵 문제, '디젤 스캔들' 등 국내외 현안에 대해 양보없는 토론을 벌였다.
◇ 난민 문제 놓고 난타전 = 독일 4개 방송을 통해 방영된 TV토론에서 첫 주요 주제는 좀처럼 불붙지 않는 선거 정국에서 '뜨거운 감자'인 난민 문제였다.
슐츠 당수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유럽의 해법"이라면서 폴란드와 헝가리 등이 유럽연합(EU)의 난민 할당 정책에 반대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유럽 이민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슐츠 당수는 메르켈 총리의 2015년 난민 수용 결정과 관련, "다른 유럽 국가들을 적절하게 참여시키지 않은 채 국경을 개방한 것은 잘못"이라고 선제공격을 가했다.
이에 메르켈 총리는 "매우 드라마틱한 상황이었다. 우리는 긴 국경을 가졌고, 국경을 넘으려는 이들에게 물대포를 쏠 수 없었다"라며 인권 문제 등을 들어 난민 수용 결정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또한, "연방 총리로서 중요한 순간이었고 선택을 해야 했다"면서 현재 지중해가 북아프리카 난민 유입 루트가 된 것과 관련해 리비아 정부의 해안 통제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北도발 대응에 메르켈 "외교적 해법"…슐츠 "트럼프 못 믿어" = 북한의 6차 핵실험 등 도발 행위에 대해 메르켈 총리는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해법이 필요하다. 북한과 군사적 충돌을 전제로 한 설전은 더 이상 안 된다"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논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한, "미국이 외교적인 해법을 찾는 것을 돕기 위해 우리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슐츠 당수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적합한 인물이라고 믿는가"라고 반문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신(新)나치를 구분할 수 없다. 독일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맞서야 한다"고 독일 내 비등한 반(反) 트럼프 정서에 호소했다.
◇ 터키 상대 강공책 한목소리…"EU 가입 안돼" = 터키의 독일 민간인 구금 사태 등으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것과 관련, 메르켈 총리는 "인내심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라며 "터키가 EU의 일원이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다만, 메르켈 총리는 터키가 난민 유입 경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한 EU와 터키 간의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슐츠 당수는 "총리가 되면 터키의 EU 회원 가입 협상을 중단시킬 것"이라며 "'지금은 끝'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말했다.
슐츠 당수는 메르켈 총리와 달리 난민 경로 차단 협상은 예외로 뒀다.
◇ 슐츠, '디젤 스캔들' 공격…메르켈, 경영진 공격하며 맞불 = 메르켈 총리에게 악재로 작용했던 '디젤 스캔들'도 TV토론에서 다뤄졌다.
슐츠 당수는 메르켈 총리가 자동차 업계 경영진을 보호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메르켈 총리는 "자동차 업계 경영진에게 극도로 화가 났다"며 슐츠 당수의 예공을 피하면서 "자동차 산업은 수출국인 독일 경제의 가장 중요한 축으로 스캔들은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위험에 처하게 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이들은 월드컵 개최권 획득 과정에서 '돈 로비 의혹'을 받는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 대해 찬성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lkb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