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희용의 글로벌시대] 조선족 이름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1. 제주여성가족연구원의 연구원 이해응 박사는 중국 지린(吉林)성 퉁화(通化)시 출신이다. 하이룽(海龍)중등사범학교를 거쳐 옌지(延吉)의 옌볜(延邊)대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옌볜대 직원으로 근무할 때까지 '이해응'으로 불렸다. 중국 신분증에도 한자 이름 '李海鷹'과 함께 한국식 발음의 이름 '이해응'이 한글로 적혀 있었다. 여권을 만들 때 비로소 중국식 발음의 영문 'LI HAI YING'으로 이름을 기재했다.
이 박사가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교환연구원으로 선발돼 2001년 2월 입국하자 한국에선 그를 '리하이잉'으로 불렀다. 중국에서도 이름을 한국식으로 불러왔는데 정작 모국에서 중국식으로 부르다니 이해할 수 없었다. 외국인등록증이나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에는 영문으로만 기록돼 있어 '이해응'이란 이름은 주변 가까운 사람에게나 통할 뿐이었다. 학교에서나 은행에서나 관공서에서는 공식 이름이 '리하이잉'이었다.
이 박사는 2016년 3월 국적을 취득하며 비로소 자신의 이름을 되찾았다. 그러나 아직 완벽하지는 않다. '바다 위를 비상하는 매'처럼 살아가라고 아버지께서 지어주신 한자 이름을 주민등록증에는 쓰지 못한다. 내국인처럼 주민등록증에 한자 이름을 병기하려면 법원에 개명 신청을 해야 한다. 한글 이름만 있으니 은행에 가면 주민등록증만 보고도 중국동포 출신인 줄 안다. 국적을 부여할 때 한꺼번에 해주면 되는데 일부러 차별하려고 그런 것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고 한다.
#2. 지린성 룽징(龍井)에서 태어나 조선족 초중고를 다니고 옌볜대와 대학원을 졸업한 김용선 중국동포한마음협회장도 2004년 9월 한국으로 유학왔을 때 한국식 이름 대신 '진룽산'이라고 불리는 것이 불만이었다. 불편도 많이 따랐다. 외국인등록증에는 영문으로만 기재돼 있어 온라인 은행계좌로 송금하려면 'JINLONGSHAN' 11글자를 다 적을 수가 없고 'JINLO'까지만 적을 수 있어 누가 보냈는지 알기도 어려웠다. 아내 이선란 씨 역시 중국 신분증에는 이름과 주소까지 우리말로 기재돼 있다가 한국에 들어와 중국식으로 바뀌었다.
김 회장은 2014년 한국으로 귀화하며 한국식 이름은 되찾았지만 한자 이름 '金龍善'은 아직 찾지 못했다. 못 찾은 것이 또 있다. 본관이다. 그는 아버지에게 '강릉 김씨'라고 들었고, 족보도 있었는데 문화대혁명 때 다 불타버렸다고 한다. 본관을 입증하지 못하니 하는 수 없이 주민등록 당시 거주지를 따서 '구로 김씨'라고 정했다. 그런데 문제는 구로 김씨가 엄청나게 많아 같은 본관을 쓰는 사람이 대부분 혈족이 아니라는 점이다.
#3. 전춘봉 씨는 길림신문(吉林新聞) 한국지사장이다. 중국 지린성 당위원회의 기관지인 길림신문은 성도 창춘(長春)에서 한글신문을 발간하며 2012년부터 한국판(해외판)도 내고 있다. 중국 국적인 전 지사장의 국내거소신고증에는 이름이 'QUAN CHUNFENG'으로 기재돼 있다. 세무서에 신고한 길림신문사 사업자등록증에는 한글로 '취엔춘펑'으로 적혀 있다. 주무 기관에 따라 원칙이 다르다. 신문에는 온-오프라인 모두 '전춘봉'으로 표기돼 있어 둘이 같은 사람임을 증명해야 하는 일이 자주 있다고 한다.
불만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전 지사장은 "우리 신문의 제호는 길림신문인데 왜 자꾸 지린신문이라고 부르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놓는다. 흑룡강(黑龍江)신문, 료녕(遼寧)신문, 연변(延邊)일보도 헤이룽장신문, 랴오닝신문, 옌볜일보라고 부른다.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주도 옌지의 기차 역사나 공항 청사 위에는 한글과 한자로 각각 '연길'과 '延吉'이라고 큼지막하게 달아놓았다. 그런데도 한국에서는 연길을 옌지라고 부른다. 심지어 한민족이 건너가 정착촌을 건설하며 '동쪽(한반도)을 밝힌다'는 뜻으로 지은 '명동촌'(明東村)마저 '밍둥촌'이라고 부르니 조선족도 알아듣기 힘들 지경이라고 한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대법원,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립국어원 등 관계 당국도 이 문제를 여러 차례 검토했다고 한다. 이들의 해명을 종합하면 이렇다 "재외동포가 조선족만 있는 게 아니다. 또 외국식 이름을 한글로 정확히 표기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여권 이름과 한글 발음이 다르면 본인 확인이 힘들 수도 있어 여권 이름을 기준으로 할 수밖에 없다. 국적 취득 때 다른 나라 동포들은 한자를 안 쓰기 때문에 한글로만 기재하는 원칙을 똑같이 적용하게 됐다.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하는 한자가 각각 간체자와 번체자로 달라 혼란이 우려되는 점도 감안했다. 증빙서류 없이 신청자 주장 대로 본관을 표기하면 해당 문중에서 반발한다. 지명의 경우에도 예외를 너무 많이 두면 혼란이 빚어지므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리 있는 반론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오랜 세월 외국에 살면서도 어렵게 우리말을 지켜온 조선족 입장에선 납득하기 힘들 수 있다. 국내 체류 외국인이나 귀화자 가운데 조선족이 가장 많고 어차피 외국인등록증이나 국내거소신고증에 각각 'CHINA-KOREAN'(차이나 코리안)과 '한국계 중국인'이라고 별도 표시하는 만큼 예외를 허용해 한글 이름을 여권의 영문명과 병기하도록 해 달라는 것이 이들의 요구다. 외래어표기법의 경우에도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는 규정을 폭넓게 적용해 조선족의 무대인 동북 3성, 아니면 최소한 옌볜조선족자치주의 지명 등은 한국식으로 부르자고 한다.
오는 24일은 한중수교 25주년이다. 사반세기가 지나는 동안 양국 관계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다. 가장 큰 변화를 겪은 당사자이자 이런 변화를 앞장서 이끈 것은 바로 조선족이다. 이제는 국내 체류 중국동포들이 오래도록 염원해온 대로 이들의 이름을 우리와 똑같이 불러주는 건 어떨까. 국내의 조선족 관련 전문가들도 "큰 예산을 들어지 않고도 포용과 통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정책"이라고 입을 모은다. 관계 당국의 긍정적인 검토를 기대한다.
heey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