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 뛰어노는 분수대 물 괜찮나?"…수질관리 '구멍'
경기도 현황 파악도 못 해…'뒷북' 수질검사도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경기도 수원시 A아파트단지 안에 설치된 바닥분수대에서는 요즘 한낮에 어린이들이 물을 맞으며 노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분수대는 수질관리의 사각지대로 방치돼 있다.
아파트관리사무소 측은 "별도로 수질검사를 하지는 않고 있다. 어린이들이 이곳에서 물놀이를 못 하도록 해야 하지만 한계가 있다"며 "매주 2차례 수돗물로 분수대 물을 교체하기 때문에 안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1일 경기도에 따르면 어린이들의 물놀이 대상이 되는 바닥분수대와 벽천분수, 인공 실개천, 인공연못 등의 수경시설이 도내 357곳에 산재해 있다.
하지만 A아파트단지처럼 관리사무소 등이 관리하는 바닥분수대와 벽천분수 등은 실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는데도 도 현황자료에 상당수 포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이들 동네 분수시설은 수질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레지오넬라증, 피부염 등 각종 감염병을 확산시키는 원천으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분수대는 3군 법정 감염병인 레지오넬라증이 전파될 수 있는 경로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도도 자체 파악한 물놀이형 수경시설 357곳 중 물놀이 시설로 가동하겠다고 시군에 신고하는 시설에 대해서만 앞으로 정기적인 수질관리를 하겠다고 밝혀 이같은 우려를 키우고 있다.
도는 지난해 도내 지자체 운영 분수시설 284곳 중 1곳만이 수질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반면 환경부가 2014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운영 물놀이형 수경시설을 대상으로 한 수질관리 실태 조사에서는 총 804개 시설 중 5.1%(41개)가 수질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수질 기준을 초과한 시설은 바닥분수가 35개로 가장 많았으며, 기준 초과 항목은 대장균이 35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주민들의 이같은 우려에도 지자체들의 분수대 수질관리는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도는 2009년 6월 전국 처음으로 '경기도 분수 수질 적정 기준 유지를 위한 조례'까지 제정했지만,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도 수자원본부는 A아파트 분수대처럼 자체 관리하는 수경시설이 현재 몇 개나 되는지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시군이 관리하는 시설 현황 역시 지난해 6월에는 278곳이라고 발표했다가 최근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221곳이라고 밝히는가 하면 지난해 도의 연간 물놀이 분수시설 수질검사 결과 자료의 검사 대상은 284곳에 달하는 등 통계조차 부정확한 실정이다.
수질검사 시기가 늦고, 검사 대상시설 및 항목도 너무 적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는 이날부터 이달 28일까지 한강유역환경청 및 시군과 함께 물놀이 수경시설에 대해 수질검사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물놀이 가능 시설 357곳 중 20곳만 선별해 탁도와 수소이온농도(산성·알칼리성의 정도), 대장균, 잔류염소 등 4항목에 대해서만 검사한다는 계획이다. 레지오넬라균 등이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검사 결과도 폭염이 어느 정도 잠잠해져 물놀이를 많이 하지 않는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에나 발표할 예정이다. '뒷북 행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도와 환경부는 관련 법 개정에 따라 올해부터 가동 신고한 수경시설이 수질검사에서 기준을 초과할 경우 관리자 측에 1회 적발 시 100만원, 2회 적발 시 200만원, 3회 적발 시 3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kw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