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평택에 '새 둥지' 틀다…60여년 용산시대 마감

입력 2017-07-11 11:01
수정 2017-07-11 15:42
주한미군, 평택에 '새 둥지' 틀다…60여년 용산시대 마감

미 8군 오늘 평택 신청사 개관…한미동맹 역사에 새 이정표

한미 정상 합의 14년만에 마무리…연합사 잔류 규모 등 과제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주한미군의 지상군을 지휘하는 미 8군사령부가 11일 경기도 평택 '캠프 험프리스'에 지어진 신청사에 공식 입주한 것은 한미동맹 역사상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양국은 논란과 잡음이 많았던 주한미군 이전 사업을 마무리함으로써 동맹의 성숙도를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지만,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적지 않다.

미 8군사령부는 이날 평택 신청사 개관식으로 60여 년에 걸친 용산기지 주둔을 공식적으로 마감했다. 지난 4월 25일 6·25 전쟁 당시 8군사령관인 월튼 워커 장군의 동상 이전식으로 시작한 사령부 이전을 마친 것이다.

미 8군은 미 육군에서 유일하게 영구적으로 전진 배치된 야전 부대로, 육군 비중이 큰 주한미군의 주력이다. 그만큼 기지 이전의 상징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미 8군사령부의 평택 이전은 한미 양국이 진행 중인 대규모 주한미군 기지 이전 사업의 일부다. 양국은 올해 안으로 대부분의 주한미군 재배치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올해 말에는 주한미군사령부가 평택에 입주한다.

주한미군 이전 사업은 1990년 한미 양국의 기본합의서 체결로 시작됐지만, 2003년 4월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당시 미 대통령의 합의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전국 91곳에 흩어진 미군 기지를 평택·오산의 중부권과 대구·왜관·김천의 남부권으로 재배치함으로써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 여건을 보장하는 게 목표다. 미군 기지의 효율적 재배치를 통해 전체 면적도 2억4천197만㎡에서 7천675만㎡로 줄어든다.

사업은 용산 기지를 평택을 비롯한 다른 곳으로 옮기는 YRP(Yongsan Relocation Program) 사업과 의정부·동두천 기지를 이전하는 LPP(Land Partnership Plan)의 두 갈래로 진행 중이다.

사업 규모는 YRP가 약 8조9천억원, LPP가 약 7조1천억원으로, 모두 16조원에 달한다. YRP는 한국이, LPP는 미국이 비용을 부담한다.

주한미군이 떠난 기지는 한국 측에 반환돼 재개발된다. 용산 기지가 대규모 공원으로 거듭나는 게 대표적이다. 기지 매각 대금은 기지 이전 사업 자금으로 쓰인다.



미 8군이 입주하는 평택 '캠프 험프리스'는 주한 미 제2항공여단 본부가 있던 기지로, 미군 기지 이전 사업을 통해 약 3배로 확장됐다.

평택기지는 1천468만㎡ 부지에 513동(한국 측 226동, 미국 측 287동)의 건물이 들어선다. 학교, 상점, 은행, 운동장 등 미군과 가족을 위한 시설도 포함됐다. 미군 자녀들이 다닐 초·중·고교는 이미 문을 연 상태다.

주한미군은 새로운 둥지가 될 평택기지에 대해 매우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토머스 밴달 미 8군사령관은 지난 5월 미국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지금까지 봐온 해외 미군 기지들 가운데 가장 크고 제일 좋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전국 곳곳 기지에서 생활하던 주한미군 가족들이 평택기지에 집결하게 되면 유사시 비전투원인 이들을 안전하게 후송하는 작전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평택항, 평택역, 오산기지 등은 유사시 미군이 증원전력을 신속하게 전개하는 '입구'이자 비전투원을 후송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주한미군은 대부분의 병력을 한강 이북에서 이남으로 옮기지만, 한강 이북의 주요 훈련장은 그대로 두고 계속 사용함으로써 최전방에서 북한군과 맞설 의지를 과시할 방침이다.

캠프 험프리스 확장 과정에서 평택 대추리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등 논란도 많았지만, 한미 양국은 노무현 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의 합의 이후 14년 만에 주한미군 기지 이전 사업의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4년 한미 양국 합의로 용산기지에 잔류하도록 한 한미연합사령부의 규모 문제, 기존 미군 기지 환경오염 정화 비용 부담 문제 등은 한미 양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군 관계자는 "주한미군 기지 이전 사업을 원만히 마무리함으로써 주한미군의 안정적인 주둔 여건을 보장하고 미래 한미동맹을 '업그레이드'하는 초석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ljglo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